반응형

2020최저시급 월급 계산법


최저임금이 오르고 신입의 경우 구직활동이 더 힘들다는 말도 있더라고요.

포괄임금제인 대기업들도 많다고 하는데요.

퇴직금의 경우 절대 포괄임금제에 포함시키면 안된다고 하는데요.





어길시에는 벌금이랑 그리고 차액분을 모든 직원에게 줘야 한다고 합니다.

야근도 연봉에 포함이라면 야근을 안하는게 더 좋은거고요.

2020최저시급만 늘어났을뿐 경력자들은 급료 안깍이면 다행이라고 하던데요.



작년에 워낙 많이 올라서 많이 오르진 않을거라고들 예상하시던데

9000원대 진입여부가 변수라고 하더니

2020최저시급은 소폭상승한 느낌인데요.

근데 이렇게 올라도 근무시간이 줄어서 예전보다 덜 받는다고 하더라고요.

주휴수당때문에 주5회 쓸거 주3회쓰고 8시간 일할것도 4시간 일하고 

사장님들은 알바생 쓸거 본인들이 일하고

사장님과 알바생 모두 힘든 상황이다라고도 하더라고요.

그리고 여기에 물가도 올라서 버는 족족 나간다고 하고요.

참고로 2009년도에는 임금이 4000원이었더라고요.



이 금액에는 주휴수당도 포함이 된 금액입니다.

만약에 근무가 18시까지 끝나고 22시까지 연장근무를 했다면

12,885*4해서 51,540원의 연장수당이 발생하는 것이고요.

5인이상인지 5인이하인지도 중요한데요.

사장님은 근로자수에 포함되지 않고요.

5인미만 사업장의 경우는 년차나 월차 없고요.



점심식사값은 복지고 의무는 아니라고 합니다.






연장근로는 2020최저시급 월급 계산법의 금액인 1795000원에 포함된 금액이 아니고요.

기본급인 1795310에 +연장근로해서 셈을 하면 됩니다.



만약에 2020최저시급 월급 계산법에서 하루 30분을 더 일하게 된다면

하루 0.5시간을 더 근무한게 되어서 한주에 2.5시간이 더해져서

한달로 하면 10.8정도가 나오게 되어서 11시간으로 헤아리면

8580*11*1.5=141735원이 더해져서

백구십삼만칠천원정도의 한달 금액을 받게되는 겁니다.



주휴수당은 많은 분들이 알지만 못받는 분들도 많다고 합니다.

이런거 저런거 따지고 들면 취저임금 주는 곳에서도 채용을 안한다고 하고

고용주 임장에서도 아르바이트생 입장에서도 어려움이 많더라고요.

아르바이트생을 쓰시는 분들의 경우 주휴수당까지 주게 되니

 부담이 많다고들 하시더라고요.

주휴수당이랑 만근수당 주는 곳이 극히 드물다라고도 이야기 하시더라고요.

만약에 월급제인 경우 이미 주휴수당이 포함된 월급인 거고요.


주휴수당은 출근하지 않고 빠진 경우 주휴수당은 그주에 발생하지 않고요.

한주한주 만근 열닷섯 시간 열심히 근무했으면 

다음주에도 열심히 근무해달라는 보너스라는 개념이라고 보시면 되는데요.

그리고 마지막주는 안준다고 하는데 이 마지막 주라는 개념이 퇴사할 경우의 

마지막 주를 의미하는 거고요.

주휴수당은 1일의 수당을 더 받는다고 생각하시면 되는데요.

결근 안할경우에만 받게 되고요.



간단하게 주휴수당은 일주일 받은 금액의 이십프로가 

주휴수당이라고 생각하시면 되는데요.


그리고 2020최저시급의 근로계약서 작성할때 보면 

주휴수당 적는란이 없다고 하는데요.

법적으로 정해져있지 않다는 의미라고 하는데요.

근로 계약서 작성시에 임금 얼마이고 주휴수당 얼마라고

 이렇게 나눠서 정확하게 적어야 한다고 합니다.



이렇게 계산이 되는데 간편한 임금 계산기의 경우 1분단위로 나눠서도 셈할수 있더라고요.

그리고 알파어플이라는게 있는데

직원들도 다 다운로드해서 출퇴근시간 찍기만 하면 

알아서 계산해준다고도 하네요.



만약에 취저임금보다 못 받고 있다면 3년안에 신고하면 못받은 금액을 받을 수 있다고 하고요.

몇년전에 못 받은 내역일 경우 증거수집이 중요하다고 합니다.

그리고 해당 신고자의 취업을 방해하는 행위도 할 수 없다고 근로기준법 40조에 나와있습니다.

만약에 임금 제대로 안줘서 신고하면 사장님과 삼자대면 한다고 하고요.

유예기간이 3년이지만 바로 신고해야 미지급 +처벌수당을 100%받을 수 있다고 합니다.

급료체불은 2주는 지나야 한다고 하고요.



2020년도 군인월금이라고 하는데 

다시 재입대해야겠다고 우스개 소리들도 이야기 하시던데요.

오른만큼 군에서 사야할 품목도 많다고도 하더라고요.

나라를 위해 애써주시는 분들이니 더더 환경이 개선되면 좋겠네요.

1970년도 병장 월급은 900원이었다고 합니다.



내년도 공무원 월급인데요. 3%정도 올랐다고 합니다.



외국이랑 근무여건이랑 물가가 다르니 비교불가일테지만

임금이 가장 높은 나라는 호주라고 하더라고요.

거의 1만7000원대 더라고요.

한국은 15위라고 하고요.

지역으로는 세종이 가장 높다고 하고요.

그리고 가장 임금이 놓은 알바는 쇼핑몰 모델이라고 하네요.


편의점 야간에 직영점에 근무하는 분 300받기도 한다고 하고

평일 오전오후까지 다하고 210받기도 했다고 하더라고요.

근데 직영이 정말 힘들다고 하더라고요.

지금 시에서 대학생 알바생 모집하는데 한달에 112만원주더라고요.

그리고 선관위 공정선거 지원단 같은것도 

문과쪽이면 이력서 경력에 한줄넣기 좋다고 하더라고요.



요즘은 커피숍도 하루 8시간 6시간 일하는곳 찾기가 쉽지 않다고 합니다.

대학가 식당은 알바생들을 줄이고 주문 기계를 들여놓았다고 하고요.

8590원의 가치!!많다면 많고 적다면 한없이 적을 수 있는데 

본인이 어떻게 일하느냐에 따라 가치가 달라지지 않을까요.

노동부에 문의하시면 한달 시급 감안한 한달 받는 금액 셈해서 알려준다고도 합니다.

2020최저시급 월급 계산법에 대해 알아봤는데 2020년도는 

모두가 경제적으로 좀 더 안정적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