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한전 고객번호조회해 봐요.


전력공사 전화 123번으로 전화하면 한부모나 주거급여 등 

제일 많이 할인받는 항목으로 변경해 준다고 합니다.

다자녀 및 수급자의 경우 중복할인이 되고요.





전기 수급자 및 출산가구 할인 등도 있고요.

그리고 한전 고객센터에 문의하실때 한전 고객번호를 알고 있으면 편하실텐데요.

열자리 숫자에서 앞 두자리는 광역시도를 나타내고 다음 네자리는 해당지역

그리고 다음 숫자는 각자의 고유숫자로 구성이 되어있다고 하는데요.

한전 고객번호조회를 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아이있는 경우도 전기세 할인이 되는데 따로 신청안해도 되는줄 알고 

혜택 못받으신 분들도 있으시던데요.

따로 알아서 신청을 하셔야 한다고 합니다.

주민센터 통해서 하면 누락이 많다고 하니 꼭 직접 한국전력에 전화연락을 해보세요.



전기세의 경우 여름에 에어컨 값이 가장 많이 나올거라고 생각하지만 

꾸준하게 많이 나오는건 실질적으로는 밥솥이랑 냉장고라고 하더라고요.

에어컨 벽걸이의 경우 실외가 자체가 작아서 더 조금 나온다고 하고요.

 납부 카테고리를 통해서 미리 요금을 알아볼수도 있는데요.



그리고 한전 어플을 통해서 미리 전기 사용한 금액을 알수도 있습니다.

한전 고객번호조회를 하는 방법은 어플로도 가능하고

 전화해봐서도 알려달라고 하면 알려준다고 합니다.



저는 고지서로 확인했는데요. 보통 4인가족의 경우 3만원대 정도의 요금을 내시더라고요.

휴대폰 충전하는데는 한달에 3원이라고 하고요.

저는 빨래건조기 들이고 전기세 많이 나올까봐 걱정했는데 

한달에 만원도 안나오더라고요.

그리고 열내는 히터 종류가 전기세가 많이 나온다고 하고요.

공동주택관리정보시스템 홈피에서 관리비 내역등을 확인할수도 있다고 합니다.



전기 계량기 보는법은 도시가스랑 많이 헷갈리시던데요.

도시가스는 밑에 세제곱미터라고 나와있다고 하고요.

전기는 키로와트라고 되어있고요.

전달 고지서에 체크된량 빼면 몇키로와트인지 나온다고 합니다.

어플을 통해서 한전 고객번호를 확인할 수 있어요.



이렇게 사이버지점 홈피에서 찾을 수 없던

 고객번호 찾기 카테고리가 메인에 딱 있어서 

찾기도 쉽습니다.



이렇게 자신의 인적사항을 통해서 검색해서 찾을 수 있습니다.



한전 고객번호조회가 되면 검침일이나 납기일도 함께 알 수있고요.



이렇게 확인해서 요금 내역을 자세히 확인할 수 있고요.



사이버지점 홈피를 통해서도 확인이 가능합니다.

아파트는 아파트 별로 번호가 있다고 하고요.

관리사무소에서 사용량 확인할수 있다고도 하고요.



그리고 이 앱을 통해서 실시간으로 전기 사용량을 확인할수도 있습니다.

명의자가 같지 않아도 인증 받아서 확인할 수 있더라고요.

아파트 관리비에 전기세까지 포함되어 나온다고 하네요.

여름에 에어컨 많이 사용해서 걱정스러울때도 실시간 조회해보면 좋겠네요.



다자녀 가구뿐만이 아니라 5가구 이상도 할인되는 내역이 있더라고요.

저희도 할인받고 있는데요.

이런 할인의 경우 전화로도 신청할 수 있다고 하고요.

그리고 전기요금 절약하면 받는 에코마일리지도 너무 좋은 제도이던데요.

처음 생길때부터 절약하신분은 거의 적립금을 25만원정도 모으신 분도 있으시던데

 정말 대단하더라고요.






차량 마일리지와 함께 동기부여도 되고 

제법 돈이 된다고 하더라고요.

그리고 복지할인제도 같은걸 잘 모르겠다 하시는 분들은 

한전에서 운영하고 있는 유튜브채널 전기사용 꿀팁백과에 잘 정리가 되어있더라고요.

자격이 되는데 할인을 못받는 분들이 많다고 하더라고요.

전기 절약 하는 방법은 멀티 콘센트 사용하기 전기밥솥 보온기능 사용하지 않기

그리고 스마트 플러그 사용하기 등등 알아보면 절약할 수 있는 방법이 있더라고요.

그리고 안쓰는 코드는 다 빼고요. 셋탑박스도 저는 수시로 꺼두어요.

잘때도 번거롭지만 끄고 자고요. 셋탑박스가 월 1000원에서 1500원 정도 전기세가 나온다고 합니다.

연식 오래된 가전제품의 경우 교체하면 확실히 전기세가 덜 나온다고 합니다.

냉장고만 바꿔도 전기세 준다고 하더라고요.

전기 요금은 led 등으로 바꿔도 많이 줄일 수 있다고 합니다.


그리고 할인은 가스락 어플로도 할인이 된다고 합니다.

그리고 에너지바우처제도는 2015년도부터 시행이 되고 있는데요.

에너지 바우처는 주민센터에서 신청하고 우편으로 에너지 바우처 확정이라고 받을 수 있다고 합니다.

바우처 안에 금액이 차감되면서 이용하고 금액이 다 차감되면 요금이 청구된다고 합니다.


전기세는 한달정도 미납하는 경우 끊기지는 않고요.

3개월 미납이면 끊긴다고 하는데요.

그럴때 우선 한달만이라도 납부하면 끊기는걸 막을 수 있다고 합니다.



한전 고객번호를 문의전화를 할때는 연

말연초는 항상 바빠서 연결이 어렵다고 하니 예약을 해두어도 좋을거 같고요.

그리고 24시간이라 새벽에도 된다고 하더라고요.



전기요금 계산 방법은 먼저 고지서를 참고 하셔서 기본 요금을 아셔야 하고요.

 전기요금 단가를 기준으로 해서 계산을 해볼 수 있다고 합니다.

그리고 홈피에 보면 전기사용 매뉴얼을 다운받을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요금 많이 나오면 한전에서 전화주기도 한다고 하네요.

전기 검침 하시는 분이 알려주신다고 해요.

전달대비 많거나 적거나 하면 전화온다고 합니다.

전기세가 너무 많이 나오거나 하셨다면 아파트라면 관리실에 문의해 보시고요.

주택이면 한전에 문의해 보시고요.

전화 전에 계량기 지침이랑 고지서에 적혀있는 계량기 지침 확인해 보시고요.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