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부모가정 자격조건
코로나로 인해 이혼 상담이 급증했다고 해요.
재택근무하면서 종일 나가있을때는 안보이던 문제점이 보이기 시작했다는 분도 있고
곪았던게 터졌다라는 분도 있으시던데요. 코로나로 인해 이혼이 20%나 급증했다고 하는데요.
이혼 위자료 평균 금액은 2416만원이라고 하고요.
한부모가정 자격 상실이 위자료로 인해서 된 경우도 있더라고요.
이렇게 자격이 상실되는경우 지역마다 다르기도 하지만 또 바로 신청해서 자격을 다시 얻을수도 있다고 합니다.
6개월 기다렸다가 다시 신청하는 경우도 있고요.
주민센터는 서류만 받고 심사 같은건 구청에서 다 한다고 해요.
그래서 이런 경우 구청에 담당자분께 직접 통화를 해보기도 한다고 하고요.
양육비도 매달 받는다면 소득으로 잡히고요. 매달 받지않고 띄엄띄엄 받는다면
사전이전소득으로 들어가게 된다고 합니다.집이 전세라고 해도 재산이라고 합니다.
반면에 한번씩 심사를 한다고 하는데요.
양육비 받으면서 일하는 소득이 있으면 한부모가정 혜택은 못받을 가능성이 크다고 합니다.
그리고 아이들 통장도 다보고 재산으로 잡는다고 해요.
2000cc 10년 이상인 차이거나 10년 미만은 차량가액 500미만이어야 한다고 해요.
소득은 2인가구 160만원 이하여야 하고요.
lh전세임대는 청약센터 어플을 이용하면 편하다고 합니다.
중위소득 52%이하가 법정한부모고요.
그보다 낮은 50%이하가 차상위입니다.
한부모가정이랑 기초생활수급자랑은 중복지원이 가능합니다.
한부모가 되면 지원금은 아이 한명당 20만원이 나온다고 합니다.
전기세랑 핸드폰 할인 등도 있고요.
한부모가정 자격조건되서 신청하고 확정되면 동사무소에서 할인혜택이 적혀있는 용지를 받을 수 있어요.
방과후나 컴퓨터 지원 등도 있다고 합니다.
아이가 학교에 들어갈수록 혜택이 많아진다고도 하네요.
그리고 한부모협회 같은곳에서 분유도 보내주기도 한다고 해요.
유아학비 지원은 저소득층 유아학비라고 해서(나라지원 외에 따로 나가는 월 회비)지원인데요.
증명서 한부모까지 가능하고 사립이랑 국공립 지원금액이 다르다고 합니다.
한부모가정 자격조건이 안되면 다른 혜택 받알 수 있는건
어린이집이나 유치원 우선 순위 그리고 방학때 지원받을 수 있는 급식카드 정도만 있다고 합니다.
일반 한부모의 경우 어린이집 대기 점수 2순위 50점과 초등아이 돌봄 우선권 정도 밖에 없다고 합니다.
그리고 자녀장려금이랑 월급 많지 않으면 근로장려금 정도가 있고요.
지역에 따라 아이들 바우처 나오는 것도 있다고 합니다.
복지로
지원 금액이 입금될때 명칭은 지역마다 다르다고도 합니다.
여성가족과 또는 여성 청소년과로 들어온다고도 하고요.
법적 서류정리가 다 끝나면 한부모 신청이 가능하고요.
서류가 정리가 안되어있으면 통과가 어렵다고 합니다.
법적으로 가족관계 등록부가 다 정리된 후에 신청을 해야 한다고 합니다.
신청하고 금융재산 등 조사하는데 지급까지 보통 2달정도 걸린다고 합니다.
집도 지원받는 경우에는 20만원정도 관리비만 내면 된다고 합니다.
한부모 적합 판정을 받을때에는
시에서 가정방문 심사를 나오는데요.
통장 1년치 거래내역을 제출해야 하는데
주거래통장 입출금내역 1년치를 내고
금융정보확인동의서를 체크한다고도 합니다.
주거래 제출하고 나면 다른 필요한 내역은 다시 이야기 해주신다고도 하고요.
핸드폰 할인은 한부모 증명서 들고 대리점에 가면 된다고 합니다.
동사무소에서 한부모 증명서 떼달라고 하면 휴대폰 용으로 떼어준다고도 합니다.
지역 아동센터 상담
그리고 한부모가정 자격조건이 안되었는데 사정이 어렵다면
복지관이나 건강가정센터 그리고 지역아동센터 등에서 상담받고
사례관리를 받을 수 있다고도 합니다.
재단의 도움을 받을 수 있는 드림스타트도 있고요.
그리고 명절위로금이라고 있는데요.
지역별로 없는 지역도 있다고 해요.
경기도 성남의 경우 명절위로금이 6만원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겨울에는 난방비 지원도 있다고 하고요.
가족 복지시설 지원도 있고요.
그리고 청소년 생리대 지원은 본인이 거래하시는 카드사에
국민행복카드를 먼저 발급 받으신 후 해당되는 곳에서
생리대를 구매하면 차감되는 형식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푸드마켓은 동사무소에서 신청하는데요.
신청해야지만 혜택을 받을 수 있다고 합니다.
푸드마켓 이용시에는 신분증이랑 장바구니 챙겨가면 된다고 하고요.
그리고 동사무소에서 기부 들어온걸로 라면이나 쌀 등도 받고
한달에 받는 금액외에 다양하게 지원 받는다는 분도 있으시더라고요.
그리고 정부에서 지원해주는 것 뿐만 아니라
다양한 협회에서도 도움을 받을 수 있다고 해요.
우양재단과 앰플 그리고 한부모 단톡방 등을 통해서도 도움을 받을 수 있다고 합니다.
한부모가정 자격조건과 혜택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내년에는 대상자가 확대된다는 말도 있더라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