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청년 주거지원금 하반기

 

전체 1인가구 월소득이 247만원이라는 통계가 있더라고요.

40세 이하의 취업자 1인의 월평균 소득은 350만원 정도라고 하고요.

대학 졸업 후 취직까지 10개월이 걸린다고 하는데요.

또 취업한 후에 사직서를 내기까지 평균은 1년반이 걸린다고 합니다.

그리고  73%는 첫 월급이 200만원도 안된다고 하고요.

직장인의 한달 평균 생활비는 111만원이고 집세랑 식비가 가장 많이 차지한다고 해요.

 

 

 

 

서울시의 청년 주거지원비에 참여했던 분들의 통계를 보면

평균소득 111만원에 월세 39만원으로 나왔다고 하는데요.

지급받은 나이는 25세에서 29세 나이대가 가장 많았다고 합니다.

그래서 하반기에는 청년분들의 꿈을 지지하기 위해 대상자를 더 늘린다고 합니다.

그리고 월세사는 2030은 평균 9평에 월세는 32만원이라고 합니다.

며칠전 박나래씨가 55억 건물을 샀다고 해서 기사가 나기도 했었죠.

이분은 회당 500을 받는다고 하는 말이 있더라고요.

 

 

그리고 청년 주거급여 분리지급은 부모님께 나오는 거랑은 별개이고요.

 

 

서울과 달리 인천은 월 10만원을 지급해 준다고 합니다.

 

마이홈에서 자가진단

하반기 지급은 마이홈 홈피에서 자가진단을 해볼수도 있습니다.

 

 

모집은 선착순이 아니고요.

하반기 신청은 세대주가 신청을 해야 하고요.

그리고 쉐어하우스랑 고시원도 시청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신청 기간이 지나서 신청은 안된다고 합니다.

작년 기간 막바지에는 사이트 불통도 되고 그랬다고 하네요.

작년 같은 경우 문자로 합격이라고 오고 최종합격이 또 따로 있었다고 하네요.

 

 

거주요건과 함께 소득요건 또한 자격이 되어야 하는데요.

그리고 행복주택으로 전입하신 시점부터도 신청이 안된다고 합니다.

그리고 작년에 내일채움을 하는 경우는 자격이 안되었었다고 하네요.

 

 

소득 요건 알기

소득이 아예 없는 경우에도 신청은 가능하다고 하더라고요.

 

 

 

국민임대 월세의 경우 8평정도가 월에 12만 5000원이라고 하고요.

관리비며 난방 온수해서 한달에 5만 5천원 낸다고 하더라고요.

요즘 혼자살면서 알바만으로 편하게 살 수 있냐는 글을 종종 보는데요.

이런 생각을 가진 분들이 꽤 있으신듯 한데요.

일반 카페나 식당 같은 곳에서는 나이 먹으면 안쓴다고 하더라고요.

운전 배달 같은건 할 수 있는데 그래도 정부지원 교육이라도 받던가

제대로 된 일을 하라고 댓글이 많이 달려있더라고요.

알바에 투잡 그리고 유튜브 쓰리잡까지 하시는 분들도 있으시더라고요.

 

 

 

직장이 서울역 근처인 경우 숙대입구나 이촌역 근처가 집값이 그래도 싸다고 하고요.

 

 

그리고 하반기에 청년 주거지원금 외에 다양한 도움되는 정책을 살펴보면요.

 

 

청년 차상위계층 이하에게 도움되는 정보인데요.

바로 청년 저축계좌입니다.

아르바이트 하시는 분들도 신청할 수 있다고 해요.

결혼하신분도 가능하다고 하고요.

 

 

월 10년간 3년을 저축하면 보조금해주는 금액까지 더하면 

3년후에 1440만원을 탈 수 있다고 합니다.

자립을 돕는 제도인데요.

3년동안 근로 하면서 차상위계층 말이되냐 라는 의견들도 있으시더라고요.

 

 

 

 

공무원 시험 공부하시면서 알바하시는 분들은 조건이 맞으시는 경우도 있다고 하네요.

조건이 조금 까다롭다고 합니다.

대학생도 참여할 수 있지만 근로활동이 인정되어야 한다고 해요.

알바가 가능하고요.

서울시 두배 희망 통장이랑은 또 다른 제도입니다.

더 자세한 사항은 관할 행정복지센터에 문의하시면 되시고요.

 

 

 

중소기업 청년 노동자 지원사업은 

만18세에서 34세 경기도 청년 근로자에게 도움을 주는 정책입니다.

 

 

그리고 그리고 청년 주거지원금

이 외에 중소기업에 다니는 청년에게 도움이 되는  동행 카드도 있고요.

5만원 지급이 된다고 합니다.

 

 

청년우대통장의 경우 은행마다 가지고 오라는 서류가 다르기도 하다고 하는데요.

준비할 서류들이 많고요.

그리고 등본상 구성원 명의로된 집이 있으면 안된다고 합니다.

세대분리를 해야 한다고 해요.

 

 

 

그리고 국민취업지원제도가 있는데요.

실제로 이 제도를 이용하기 위해 알아보신 분들은 

조금 더 조건이 완화가 되었으면 좋겠다는 말씀을 하시는데요.

가구원의 소득이나 재산도 심사를 받는다고 합니다.

 

 

국민취업지원제도를 심사해서 받게되면 

50만원씩 6개월간 300만원을 받게 됩니다.

 

 

고립청년 지원사업은 사회 진입에 자신감을 가질 수 있도록 

여러 프로그램을 무료로 운영한다고 합니다.

 

 

그리고 청년 면접수당은 한번 보는데 5만원을 지급해주는데

6번까지 가능하다고 합니다.

그리고 작년에 면접본거 지급을 못 받았다면 

증빙서류가 있다면 소급지급을 해준다고 하네요.

 

 

자취하시는 분들에게 자취하는 이유를 물으니

대부분 출퇴근 시간때문에 자취하시는 분들이 많으시더라고요.

진안군도 청년 주거지원금을 1년에 월 최대 15만원을 지급한다고 하고요.

성인남녀 2명 중 1명은 내집마련 이번생에는 불가능이라는 답변을 했다고 하네요.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