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종부세 계산방법 세율

 

올해 들어 부동산 가격이 많이 올라서 세금 부담으로 인해

일찌감치 자녀에게 주택 증여를 하는 건수가 많아졌다고 합니다.

이를 두고 현대판 고려장 효도사기라고도 불린다고 하는데요.

나혼자산다에 박나래씨는 800만원에서 1200만원까지 하는 월세에 산다고 하고요.

성시경씨도 천만원 월세에 산다고 하는데요.

월세를 고집하는 이유는 종부세 세금 때문이라고 합니다.

연예인들이 많이 살기로 유명한 한남더힐의 경우 1년에 내야하는 보유세만 8700만원이라고 합니다.

월세로 거주하면 좋은점은 주택에 대한 세금 걱정없고 월세가 부담되면 이사가면 끝이라고 합니다.

 

올해 종부세 납부 대상자는 94만 7000명으로 76만 5000명으로 추정했는데

그 수를 훌쩍넘는 42%가 증가했다고 합니다.

4년만에 1인당 평균 고시 새액은 169만원에서 750만원까지 상승했고

대상자도 2배에서 3배까지 증가했다고 합니다.

종부세를 아끼려면 주택명의를 가족과 분리하는 것이 좋습니다.

 

 

 

 

1가구 2주택자라면 무상 증여공제한도인 6억원까지

배우자에게 집을 증여하는 것도 방법이고요.

작년에 55만원 낸 분 올해 5500만원 나온분도 있더라고요.

 

종부세는 국민의 2%만 내고 있다고 합니다.

만약에 종부세를 폐지하게 되면 2프로가 낼 세금을

98프로가 분담해야 하는 현실이라고 합니다.

그 2프로 중에 88프로는 다주택자와 법인들이고

나머지 2프로는 1주택자 종부세 대상자라고 합니다.

1주택자 중에 75프로는 종합소득세를 평균 50미만원 내게 되고요.

 

 

납부 안내

과천 44평 아파트 1채 57만원 나온분도 있고

강북 2채 작년에 30냈는데 올해 8배 높게 나온분도 있더라고요.

전부 신축인 경우 작년보다 종부세 계산방법이 20배 넘게 나왔다고 하고요.

강남 25억 한채면 50만원 나오는데

두채면 규제지역에 다주택자라 오천만원이 된다고 합니다.

이사만 했는데 2주택자라고 500만원낸 경우도 있다고 하네요.

집한채에 공시지가 18억인데 300나왔다고도 하고요.

 

 

 

서울에서 집이 두 채 있으면 조정지역이라서 3채로 본다고 합니다.

그러면 세율이 두배로 뛰게 되는데요.

부부가 이혼을 해서 1가구 1주택이 되면 둘이 합쳐도 500만원에 그친다고 합니다.

만약에 1가구 2주택이라면 올해 6천만원이고 내년엔 9000만원 이상이라고 합니다.

7천만원 종부세 이혼하면 500만원 국가가 이혼 강요하나 이런 글도 있더라고요.

 

 

종부세 계산방법은 각자의 은행 홈피에 들어가서 국세를 조회해 보면

종부세 계산방법 및 세율과 내역을 확인할 수 있어요.

이렇게 은행 홈피에 보면 광과금 법원 카테고리가 있습니다.

 

 

나의 공과금 조회를 하기 위해서는 공인인증서 로그인을 하면 됩니다.

 

종부세 폭탄을 두고 팔면 되지 않냐고 하시던데 

종부세=주식이라고 생각하면 주식이 올라 팔지 않아 이익이 실현되지 않아도 

보유세를 내야 한다면 어떡겠냐고 물어보시더라고요.

종부세를 내는 분들은 전세와 월세를 올려 그 금액을 충당하려고 하고 

결국 서민들이 더 힘들어지지 않을까 하는 걱정도 있더라고요.

 

 

그리고 종부세는 홈택스를 통해서도 조회할 수 있어요.

 

 

250만원 초과하면 분납신청할 수 있어요.

분납은 국세 혜택있는 카드로 분납할 수 있어요.

종부세 계산방법은 분납은 이자 수수료 없다고 합니다.

분할신청하면

21년도12월 절반 내고

22년 5월에 절반 내고요.

 

 

카드로 6개월 하면 총 12개월에 걸쳐 납부 가능합니다.

분납신청이 크게 늘었다고 하고요.

전월세 인상도 늘거라고 하고요.

 

 

홈텍스에서 모의계산을 해볼수도 있어요.

 

 

세부담 상한 300%의 경우

재산세와 종부세 포함한 금액의 300%이며

추가 구입한 집은 상한선 적용이 안된다고 합니다.

그래서 단순히 3배는 아니고

조회해보면 단순 종부세 고지금액이 작년보다 3배 이상인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3배x(작년 재산세+작년종부세)-금년 재산세가 금년 종부세의 상한선이고요.

여기에 농어촌특별세 20% 더해야 하고요.

6억이하 85제곱미터 이하 농특세 면제고요.

85제곱미터 초과 농특세 과세에요.

 

 

 

 

실질적으로 2주택 이하의 경우는 3.6%

3채 이상인 경우 7.2%로 나온다고 합니다.

 

 

 

과세대상 물건명세서 확인하면

과세 대상이 아닌것도 대상에 넣어진 경우가 있다고 합니다.

담당자분께 연락해서 작년과 비교해 보면 알거라고 정정 요청하시기도 하더라고요.

 

 

부부 1주택 공동명의자는 적용받을 공제방식 및 세율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집이 한채인 경우 단독명의를 하면 9억원까지 공제하고

부부가 공동명의를 취득하면 개인당 6억원을 공제합니다.

인별과세라 종부세도 따로따로 나오고요.

일시적 2주택 혜택은 양도세 혜택만 준다고 하고요.

공동에서 단독으로 바꾸려면 증여세와 증여 취득세를 고려해야 합니다.

 

강남 공시지가 12억 4천만원대 공동명의의 경우

21만원 정도 나왔다고 합니다.

공동명의를 통해서 많이 줄었다고 합니다.

1세대 2주택의 경우 부부 중 한명이 2집을 보유한 경우가 가장 종부세 부담이 크고

공동명의인 경우에는 각각 1채씩 보유한 것보다 불리하다고 합니다.

 

 

종부세 폐지에 대해서 조정은 동의하지만 

폐지는 반대한다는 의견이 많더라고요.

재산세만 내면되지 폐지되었으면 좋겠다는 의견도 있고요.

부유한 만큼 내는게 아니라 집 소유 갯수에 따라 달라지는게 문제라고도 하고요.

 

 

종부세 계산방법은

손택스 휴대폰으로도 계산방법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공인인증서 있어야 하고요.

 

국토교통부

국토교통부에서 열람하기 선택하고 주소입력해도 됩니다.

종부세 계산방법 세율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내년 이맘때 받아볼 고지서는 더 충격적일 수 있다고도 하네요.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