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달청 등록방법 알기.
조달청은 국가가 세우거나 관리하는 기관인 공공기관의
필요한 물품이나 공사 등을 계약하고 관리하는데 역사가 벌써 70년이 되었다고 합니다.
국가기관의 물품을 감독하고 공공물품을 구입하고 국가나
사회구성원의 행정 등을 지원한다고 하는데요.
한마디로 국가 지자체에 필요한 물건을 조달해주는 기관인데요.
그리고 공장등록이나 납세 등의 조건이 성립이 되어야 한다고 합니다.
우수제품 제도는 2단계를 거쳐서 심사한다고 하고요.
그리고 우수제품으로 하려면은 특허가 있어야 한다고 하고요.
그리고 분야도 물품과 공사 용역으로 나뉘고요.
그리고 학교기관에 하고자 할때는 학교장터가 따로 있는데
학교는 물론이고 지방자치단체나 도서관 등 공공기관 전체에 조달 업무를 맡아하고 있다고 합니다.
시도의 교육청과 많은 학교가 함께 하고 있다고 하고요.
교구를 생산해서 나라장터에 등록시에는 공장설명서 등이 필요하다고 합니다.
조달청 등록방법의 첫번째는
전자계약이나 전자입찰을 하려고 하는 경우
사업자 공인인증서가 있어야 합니다.
용도에 맞게 선택하고요.
사용처별로 여러 인증서를 발급받을때보다 관리가 더 편리하다고 합니다.
사업자 범용인증서는 인증 홈피에서 신청한 다음에
가까운 우체국 등에가서 당일 발급도 가능하다고 합니다.
그리고 조달청 등록방법은 지문을 기재 해야 하는데
지문을 등록 하실분들 모두 같이 가셔야 한다고 하고요.
입찰 아니고 그냥 협정건은 일반 공인인증서로도 로그인이 가능하다고 하는데요.
지문기는 한대당 3사람까지 이용이 가능하다고 하고요.
생긴건 usb처럼 생겼더라고요.
현장에서는 판매를 안한다고 하네요.
지문인증은 간혹 기기가 옛날것이면 잘 안되는 경우도 있다고 하는데요.
지역 조달청 가셔서 지문 기재하고 인식기 따로 사셔야 하는데요.
토큰은 유니온 커뮤니티 바이오실 제품이라고 합니다.
사업자 범용인증서와 지문보안 토큰은 한국정보인증 홈피에서 신청이 가능하고요.
코로나로 인해 지문 진행을 못했다고 하던데 이제는 다시 된다고 하는데요.
대표분이 아닌 직원이 방문할때에는
재직증명서를 비롯해서 4보 가입증명서와 함께
지문토큰 가지고 가셔야 한다고 하고요.
그리고 참가자 변경도 하시고요.
이제 발급을 받은 공인인증서 신규로 하면 됩니다.
조달청 업체 이용자를 선택하고요.
그리고 계속 진행해 나가다가 참가자격신청서 작성도 하고요.
그리고 공인인증서로 암호화된 서명으로 마무리 합니다.
공공기관에서 나라장터에 공고를 올려달라는 요청이 있는 경우 올라가게 된다고 해요.
그러면 공고를 게재를 한다고 합니다.
그리고 중소기업확인서는 공공기관의 경쟁 입찰에 참여하고자 하는
중소기업에게 부여하는 확인서에요.
중소기업확인서가 있을 경우 가산점을 받을 수 있다고 하네요.
그리고 직접생산증명과 중소기업확인서는 서로 다르다고 하는데요.
중소기업간 경쟁제품인 경우 우리가 생산한 물건이다 라고 확인시켜주는
직접생산 확인서가 필요하기도 하다고 합니다.
그리고 모든 제품이 다 직접생산확인서가 필요한것은 아니라고 합니다.
가구나 농기구 그리고 동영상제작도 직접생산확인서가 필요하다고 합니다.
적격심사 과정을 통과를 하면 드디어 계약자로 선정이 된다고 합니다.
그리고 낙찰 후 나라장터에서 받은 문서함으로 계약서 초안이 전송이 된다고 합니다.
인지세는 우표처럼 생긴거 계약서 뒤에 붙이고 했는데
요즘은 전자수입인지로 납부하는게 있어요.
국세청 홈택스나 전자수입인지 홈피에서 납부해도 되고요.
국가에 내는 세금을 의미합니다.
식별번호를 받으려면 제품사진이나 제품에 대한 특징이나 성질에 대한 정보가 필요하다고 하고요.
식별번호라고 고유번호를 모델별로 다 기재를 해야 한다고 합니다.
8자리로 되어있고요.
우수제품의 경우 특례심사 대상을 확대한다고 합니다.
그리고 용어도 어려운게 많은데요
일반의 경우 경쟁이 치열하기도 하고요.
그리고 지역이나 면허 등으로 제한을 두기도 하고요.
그리고 첫번째 구매자가 정부가 되게끔 조달청이 지원해주는 제도도 있다고 합니다.
정부혁신평가 또한 우대받을 수 있다고 하네요.
그리고 사전심사제도가 있어 경영상태나 기술이행능력 등을 평가한다고도 합니다.
그리고 교육원에서 무상 원격교육을 시작했다고 합니다.
구매공고서는 품명을 검색해서 찾을 수 있습니다.
세부품명으로 조회를 하시면 되요.
조회를 하면 공고서 샘플을 확인하실 수 있으십니다.
조달청 등록방법을 완료하면 등록증이 나오고요.
그리고 물품계약서까지 마무리가 되면 2일이내에 종합쇼핑몰에 올라오게 된다고 합니다.
그리고 수요기관에서 구매를 할 경우에 분할납품요구통지서 즉 주문서가 들어온다고 합니다.
등록 분야를 잘못했거나 그 외 궁금한 사항은 1588 1800로 문의하시면 되고요.
각 지방조달청내 민원실로도 문의할 수 있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