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제곱미터를 평으로 환산


집보러 갈때 보면 제곱미터를 평으로 환산해야 할때가 종종 있는데요.

인터넷으로 보면 평형계산기가 있지만 

현장에서 빠르게 계산해야 하고 계산기가 없을때 

빠르게 속셈으로 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몇제곱미터다 라고 이야기 할 경우에는 어느 정도인지 몇평인지 감이 안오고

제곱미터를 평으로 환산을 해봐야 어느 정도인지 알수가 있는데요.

평이란 개념은 일본에서 쓰는 단위라서 요즘은 쓰면 안된다고 합니다.





보통 이집은 몇평이고 땅은 몇평이다 해야지 크기를 이해하는게 쉬운데

공문서 같은데에도 평이란 단어를 쓰면 안된다고 하네요.



1㎡는 0.3025평이고요.

그리고 330제곱미터가 약 100평이고요.

660제곱미터를 평으로 환산하면 약 200평이 되고요.



이렇게 식이 존재하는데요.

80㎡=24.2평이고요.

60㎡=18.2평이 계산이 됩니다.

근데 외우기도 어렵고 계산도 즉시하기는 어려워서 

편하게 계산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123 제곱티머다 할 경우

123의 뒤에 맨끝자리가 3으로 5보다 수가 작아서 반올림이 안되는 경우에 떼어내 버리고

12곱하기 3을 해서 36평이 되는것이고요.






묻지도 따지지도 말고 마지막 숫자가 반올림이 안되면 그냥 빼버리면 됩니다.

그럼 두자리수라서 계산하기도 더 편해집니다.



끝자리수의 반올림 여부에 따라서 버리거나 올려서 

곱하기 3을 하는 간단한 제곱미터를 평으로 환산하는 방법입니다.

77㎡일 경우에는 8곱하기 3은 24가 나오고요.

계산기로 해보면 23.2925가 나옵니다.



이렇게 계산기로 검산을 해보면 

59㎡의 경우 17.845 평으로 18평과 비슷한 거의 정확하게 계산된

것을 확인할수가 있습니다.

해보니 생각보다 쉽고 간단하더라고요.



150㎡인 경우 쉽게 15×3을 해서 45평인걸 확인할 수 있고요.



원래는 0.3025로 해야하는데 

이런 원리로 대충 감을 잡을 수 있게 빠르게 계산을 하는 방법입니다.

이렇게 계산해서 크기를 대충 빠르게 감안해보는 방법입니다.



그리고 이렇게 계산하는 방법도 있어요.

127㎡라고 하면 127곱하기 3을 한 먼저 하고요.

계산을 하면 381이 나오는데요.

소수점을 앞으로 한단위 앞으로 보내면 38.1이 되고요.

여기에다가 뒷자리에 숫자2를 더하면 38.3이 나오는 계산법입니다.

위에 소개한 제곱미터를 평으로 환산하는법 보다는 조금 복잡하지요.

계산기로 계산했을대 127㎡는 38.4175평이 나오게 되는데 얼추 맞게 계산을 하는 방법이지요.



100㎡일 경우 곱하기 3을 하면 300이 나오고 

소숫점을 앞단위로 옮기고 30.0이 되는데 

여기에 플러스 2를 하면30.2평이 되는겁니다.

실제 계산기로 계산을 하면 30.25평이 나오고요.



660㎡를 계산을 해보면

660 곱하기 3을 하면 1980이 나오면 198.0이 되고 

2를 더해서 198.2가 되는 것이고요.



그리고 정확한 제곱미터를 평으로 환산을 할려면 

평수 계산기를 통해서 하면 되는데요.



아까 127㎡의 경우 반올림으로 계산해서 13곱하기 3을해서 39평이 나왔는데 

계산기를 통해서 해보니 38.4175가 나오네요.

정확한 계산을 요할때는 이렇게 계산기를 이용하면 되고 

대충 빠르게 가늠을 할때는 위에 방법을 이용해 보세요.



한평은 3.3㎡인데요.

3.3이란 숫자가 어떻게 나오게 되었냐면요.

 가로의 길이 1.82m와 세로의 길이 1.82m가 곱해진 값이고요.

1.82m라고 하면 어느 정도의 길이인지 감이 안오는데요.

박보검의 실제키가 182라고 합니다.

이런 식으로 사람의 키로 감안을 해보면 대충 어느정도의 크기인지 

가늠이 쉽더라고요.



182센치의 사람이 가로로 눕고 세로로 누워서 4각형을 그리면 

그게 한평이 된다고 보시면 되요.

그리고 한평은 킹사이즈 침대 사이즈 정도라고 보면 된다고도 하더라고요.



그리고 외벽에 부가적으로 설치되는 발코니가 빠진 전용면적과 이둘을 합친 부분을 실면적이라고 하고요.

통로나 엘리베이터 그리고 비상구 등을 합친 공급면적이 있는데 

집의 평수를 이야기할때는 이 공급면적을 이야기 한다고 하고요.

그래서 구조에 따라서 느껴지는 체감차이가 많이 난다고 합니다.

집 평수에 공공주거공간이 포함되어 있다고 합니다.



59나 84 그리고 112나 120은 전용면적을 이야기 하는 것으로

공급 면적을 알아야만 정확한 평수를 알 수 있습니다.

전용면적을 3.3으로 나누면 실평수이고요.

공급 또는 계약 면적을 3.3으로 나누면 통상적으로 이야기하는

평수가 나오는 것입니다.



평수로 계산하는게 쉽고 번거롭지도 않은데

요즘은 평단위를 많이 안쓰고 제곱미터를 많이 쓴다니까 

한번 계산법을 알아두면 가늠해보기 편하실듯 합니다.

참고로 기사를 보니 중산층의 조건은 주택 35평에 월소득 515만원의 조건을 가졌다면 

중산층이라고 기사가 났더라고요.



 그리고 제곱미터를 평으로 환산하는 방법은 무료 어플로도 할 수 있고요.

쉬운 계산기 어플도 있고요.

평으로 환산해놓은 환산표도 있어서 쉽게 적용할 수 있는 방법도 있더라고요.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