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정부24 전입신고하기.


코로나 지원금이 이사한 경우 못받으시는 분들도 있으시다고 합니다.

언제까지는 전입신고가 되어 있어야 한다고 하는데요.





코로나 사태로 전입신고 하시는 분들도 있으시던데요.

핸드폰으로도 할 수 있고요.

공인인증서가 있어야 합니다.

그리고 이사시 전기나 수도 그리고 도시가스 같은것만 다시 변경하면 되고 

교육급여 같은건 그대로 따라 온다고 하더라고요.



이사를 가서 바로 새로운 거주지 관할청에 그 사실을 알리지 않으면 

주택임대차 보호법에 권리와 능력이 없다고 하는데요.






보고가 안되어 있으면 집에 대한 권리를 주장하기 힘들어진다는 이야기 인데요.

그리고 전입의 경우 두 종류로 나눠어져 있습니다.

기존 세대 모두 이동할 경우와 일부 세대만 이동할 경우 두가지로 나뉜다고 합니다.



그럼 정부24 전입신고 하는 방법을 소개해보겠습니다.

처리는 즉시 된다고 하고요.

동사무소에서 해도 바로 등록이 되고 

등본 초본 뗄 수 있다고 합니다.

등본에 주소 옮겨서 나온다고 하고요.

정부24 신고해도 확인해서 전산 관리는 동사무소 직원이 하는 거라고 하더라고요.



정부24 전입 신청서 작성하는 방법도 자세히 설명되어 있어요.


부부가 별거할 경우 아이들 이사 사실을 알릴때

엄마랑 아이들만도 할 수 있는데요.

대신 아빠가 정부24에서 세대주 확인을 해줘야 한다고 합니다.

미성년자 단독으로는 안된다고 합니다.



그리고 오프라인으로 할때는 세대주 본인일 경우 신분증만 있으면 되고요.

오프라인으로 할때는 내가 계약한 집 소재지의 관할 주민센터에 하시면 되시고요.

해당 구역이 아니면 안된다고 합니다.

그리고 본인이 아닌 다른 사람이 갈 경우에는 본인신분증과 집의 대표의 신분증 그리고

도장과 위임장이 있어야 하고요.

인터넷으로도 본인이 신청 안해도 가족 중에 한명이 해도 된다고 합니다.



이사하기전에 미리 확정일자 받을 수 있다고도 하고요.

공휴일에 이사하는 경우는 인터넷으로 해도 그 다음날 승인이 된다는거 같더라고요.

신청하고 그 다음날 확정되었다고 문자가 온다고 해요.

인터넷으로 할때는 세대주 승인이 안된 경우 

세대주 승인을 하면 바로 완료 된다고 합니다.



동사무소에 할때는 6시까지 문을 연다고 하고요.

확정일자 600원 수수료 있고요.

서류에는 확정일자 도장이랑 수수료 도장 그리고 동사무소 도장을 받게 되어있더라고요.



우편물의 경우 은행에 가서 금융권 일괄 변경해도 되고요.

여기 정부24 전입신고 할때 신청해도 되는데 

빠지는 경우도 있다고 해요.

우체국 홈피나 kt 주소변경 서비스를 이용해도 됩니다.



신청할때는 비회원으로 해도 되지만 

비회원일지라도 공인인증서는 있어야 진행이 가능합니다.



주소 찾기가 안되는 경우 구주소로 한번 해보시고요.



정부24 전입신고는 비회원으로 신청하고 

비회원종료하고 나오면 됩니다.



핸드폰 모바일 버전도 있고요.

주민등록증의 경우 주소 변경 스티커 붙이면 되고요.

아예 앞면에 주소를 바꾸려면 주민등록증 자체를 바꿔야 하고요.

인터넷으로 새로운 거주지에 이사한 사실을 알리는 경우 

주민등록증 스티커는 구청이나 주민센터에 가서도 할 수 있다고 합니다.

주민센터에 가서 민증 주소 스티커 달라고 하면 된다고 합니다.


그리고 이사해서 전기세 할인을 받는 경우

변경하는 날부터 할인이 되어서 최대한 빨리 하는게 좋다고 하고요.

대가족 할인 받는데 자녀 한분이 이사 나가면 

대가족 할인 못받는다고 하고요.

보육료 결제 같은건 상관이 없다고 하는데 지역마다 다를지도 모르겠고요.



그리고 초등학생 주소 이전의 경우 정확한건 지역 교육청에 문의해보면 정확한 부분인데요.

12월까지 주소 이전해 놓으면 바뀐 주소지 기준으로 배정이 된다고 합니다.

자동차 번호판 주소이전의 경우는 전국 번호판이 아닌 경우만 해당되는 사항이라고 하고요.

출산 장려금의 경우 그 지역에서 몇개월 살고 있는게 확인되야 받을 수 있다고 합니다.



이사로 인해 이번에 이번 지원금을 못받게 되는 경우

지자체가 안된다면 안되는거라고 하더라고요.

그리고 지자체 지원금을 지원받았다고 하더라도 

다른 지역에서는 이용을 못하는 경우도 생기고요.



그리고 지역별로 이사시 지원금을 주는 곳도 있는데요.

동해의 경우 가구인당 5만원 강원상품권 1년 후 1회 지급해준다고 하고요.

동사무소에서 이사한 집에 서류를 보내줘서 신청할 수 있다고 합니다.

홍성은 상품권 3만원과 태극기 준다고 하고요.

경주의 경우 종량제 봉투랑 상수도 할인 1년 해준다고 하고요.

그리고 임신 바우처 같은 경우 그 지역에 1년거주해야 하는 조건이 있다고도 하고요.

한부모의 경우 재산기준만 맞으면 쭉이어진다고도 합니다.

다둥이 혜택 같은 경우도 시마다 정책이 다 다르고요.

이런 부분은 보건소 홈피나 관할 동사무소에 문의해 보시고요.



이사시 정부 24 전입신고는 혹시 모를 불이익이나 과태료 문제 등이 있어서 

기간내에 하셔야 한다고 합니다.


정부24를 통해서 간단히 완료가 가능한데요.

단 하나 기존세대 거주지에 세대추가시 온라인으로는 안된다고 합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