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공약 코로나
제20대 대통령으로 윤석열 당선인이 되면서
방역정책이 어떻게 변화하는지에 대해서도 궁금한데요.
윤석열 공약을 보면 심쿵 공약도 있는데요.
공약들이 다 세세해서 좋다고 하더라고요.
공약이 사회적 약자를 위한 공약들이라 맘에 든다고도 하고요.
실용적인 공약들이 많더라고요.
윤석열 당선인은 코로나 19 대응체제를
집권 100일 이내에 전부 개편하겠다고 공약을 했는데요.
그리고 윤석열 당선인은 25일 페이스북을 통해서
24시간 영업, 방역패스 완전 철폐,코로나 손해 실질적 보상이라고
밝혔다고 합니다.
방역
방역관련 윤석렬 당선인 공약을 정리해 보면요.
국무총리 직속의 "제약바이오혁신위원회"를 만들어
백신 치료제 강국을 만들것을 공약하였습니다.
무조건 코로나 방역패스를 철회하는 공약을 하는
후보를 뽑는다는 분들도 있었는데요.
윤석렬 당선인은 자영업자분들을 벼랑끝으로 몰고간 방역체제를
바로 잡겠다고 하셨습니다.
윤석열 당선인은 실내에서는 방역패스를 전면 폐지하고
환기 기준을 만족한 식당,카페의 경우
거리두기를 완화하겠다고 공약하였습니다.
소상공인에게는 600만원을 추가해
최대 1000만원을 지급하겠다고 윤석열 공약을 했고요.
소상송인분들은 폐업을 하고 싶어도
폐업을 하면 빌린돈을 한번에 갚아야 해서
그것 때문에 폐업도 못하고 있다고 하는데요.
일시상환 안되게 해달라고 오늘 소상공인분이 대통령님께 바라는 글을
한 커뮤니티에 올리셨더라고요.
윤석렬 당선인은 지난달 말
24시간 영업을 강행하는 음식점을 찾아서
영업시간 제한 철폐를 약속했다고 합니다.
윤석열 당선인은 양질의 일자리를 계획한다고 하고요.
병사월급을 200만원을 주려면
5조 1천억원이 더 필요하다고 합니다.
지금 병장의 월급은 최저임급의 50%수준인
676,100원을 받고 있다고 합니다.
역전의 발판이 된게
윤석열 공약중에
여성가족부 폐지가 컸다는 말도 있던데요.
여성가족부를 폐지한 후에
별도부처를 신설한다고 합니다.
윤석열 당선인은 반려견 토리 아빠로라고도 알려졌는데요.
지금 한강 공원에 반려견 놀이터는 설치가 안된다고 하는데
이제 설치할 수 있게 만들겠다고 윤석열 공약을 하셨습니다.
교통편
전기차의 경우 완속 위주
충전 사업자 중에서는 기본료 부담을 핑계로
인상폭이 3배까지 나왔다고 하는데
현시점에서는 크게 오를지 여지가 없다고도 해서
동결의 의미가 크게 와닿지는 않는다고 합니다.
윤석열 공략 교통편을 정리해 보면
지하철 정기권의 경우
정기권을 구입하면 월 17,500원을 절약할 수 있다고 하는데요.
버스 환승이 안되는 제한이 있어서 많이들 불편해 하시던데
이런 생활 밀착형 공약은 작지만 실생활에 많은 도움이 되겠네요.
윤석열 부동산 공약은 전체적으로 공급을 늘리고
세금에 대한 부담을 낮추는 것으로 초점을 맞췄다고 합니다.
요즘 집값이 주춤한 가운데 임대차 3법 등의
억제 정책이 더해서 불안하다고 하는데요.
이런 윤석열 당선인 공약으로 인해 개선될 수 있을 거라고 합니다.
부동산의 근본적 문제인 지방균형 발전 공략도 중요할듯 하고요.
청년원가주택에 대해서는
매각시 시제 차액 부담을 정부에서 내놓아야 하는 부분의
문제점이 지적이 되었다고도 합니다.
그리고 청년범위도 좀 늘려달라고도 하시더라고요.
낀세대는 억울하다고 하네요.
종부세 위헌 소송하는 분들도 있으시더라고요.
세금에 관련된 윤석열 공약입니다.
연속혈당측정기는 처음 당뇨진단 받거나
언제 피크인지 확인할때 사용한다고 하는데요.
가격부담에 사용해보진 않았다고 하는 분들이 많더라고요.
건보적용이 핵심요인이라고 하더라고요.
우울증이랑 골다공증 또한 국가검진으로 받을 수 있는데요.
기존에는 10년에 한번으로 30세때 받았다면 40세때 받아야 하는데
이를 5년 주기로 줄인다고 합니다.
중도 퇴사자의 경우 원천징수 영수증 발급이
어렵다고 호소하시는 분들이 많은데
그런점도 개선이 될 수 있다고 합니다.
윤석열 공약 코로나 공약 등에 대해
알아본 시간이었는데요.
민심 달래기나 단기적 효과만을 위한
산업 발전을 저해하는 퍼주기식 정책은 지양해야 겠다는
의견도 있고요.
윤석열 당선 축하드려요.
오직 국민을 위하는 좋은 대통령이 되어 주시길 바랍니다.
오늘 기사 난거보니
윤석열 후보가 당선인이 되면서
50조원 규모의 2차 추가경정예산 논의가 본격화될 것이라고 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