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원천징수영수증 인터넷발급

 

월급을 자랑할때는 원천징수이고 불리할때는 기본급 세후가 국룰이라고도 하는데요.

원천징수영수증 인터넷발급은 홈택스에서 인쇄가 가능한대요.

 

올해 7월에 퇴사를 했다고 한다면 연말정산한 전년도만 인터넷 발급이 가능하고

당해년도는 회사에서 발급가능합니다.

퇴직금이나 퇴직 연금을 지급 받은 이후 

인사팀에 원천징수영수증을 요청하셔서 받아두세요.

다음해 연말정산시 필요합니다.

연락하는게 어려우면 내년 연말 정산 이후에 홈택스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고요.

발급 이후 이직한 회사에서 다시 연말 정산을 해야 합니다.

총무과 직원이 게으르지 않거나 퇴사자에게 호의적이라면 쉽게 발급 가능하다고도 하더라고요.

발급 해야할 의무는 있지만 즉시 발급이 아닌 담당자의 업무 순위에 따른다고 하고요.

아예 내년도 5월 종소세 기간에 홈택스에서 조회가 되니 직접 프린트 하라는 회사도 있다고 하네요.

 

올해 퇴사자는 회사에서 받을 수 있습니다.

퇴사시 원천징수영수증을 받아서 새 직장에 제출하시면 됩니다.

이직하는 회사에서 제출하라는 곳도 있고 아닌곳도 있고요.

보통 연말정산할때 필요하니까 퇴사할때 받아서 보관해 두세요.

용도는 이력서에 썻던 연봉이 맞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나중에 새 직장에서 연말정산 할때 사용하고요.

 

 

 

 

 

청약 서류 등으로 회사 직인이 필요한 경우도 있는데요.

은행에서는 항상 직인이 필요하다고도 하는데요.

실물 직인이 있어야 한다고 해서 거절당하고

회사에 직접 찾아가서 직인을 받아오시기도 하시더라고요.

회사에서 퀵으로 서류 받아보시기도 하시더라고요.

 

 

 

조세부담을 줄여주는 원천징수의 뜻은

소득의 지급자(회사)가 지급할 금액에서 

소득세 등을 차감하여 납부시점까지 보관하는 행위라고 하는데요.

 

 

 

 

소득 금액을 계산할때 지급자가 지급 받는자가 부담할

세액을 미리 국가를 대신해서 징수하는 것이라고 합니다.

원천징수를 함으로 세금을 개별적으로 내야하는 부담도 줄일 수 있습니다.

직장에서 매달 월급에서 세금을 떼는것을 원천징수라고 합니다.

 

 

 

 

당해년도 이후 입사한 이들은요.

 

 

 

 

갑종근로소득세와 원청징수여수부가 발급이 됩니다.

올해것은 갑종근로소득원천징수여수부 뽑아 달라고 하면 

올해것 입사 이후부터 나옵니다.

 

 

국세청 홈택스

홈텍스에서 로그인을 한 후에 확인이 가능합니다.

 

 

12월 30일날 입사한 경우라고 해도

최종 연말정산을 해야 하므로

직전 회사분 원천징수영수증을 제출해야 합니다.

 

 

 

 

원천징수영수증 인터넷발금은 홈택스 나의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데요.

원천징수액이 8000정도 되면 실수령액이 450근처라고 하기도 하더라고요.

 

 

 

이렇게 지급명세서 등 제출내역에  

내용이 없으시면 신고가 안된겁니다.

 

 

엑셀 내려받기

연말정산한 결과로 만들어지는 원천징수영수증의 내용을 보면

세전 총수입이 얼마고 

매달 떼었던 기납부 금액이 얼마였고

최종 결정세액이 얼마라는게 다 적혀있어요.

원천징수영수증 인터넷발급하면 총 소득금액이 나오고요.

 

 

원천징수영수증 인터넷발급도 가능하고 

세무서에서 뗄수도 있다고 합니다.

 

 

근로를 했는데 홈택스에서 확인이 안된다면

소급하여 신고가 가능해서 회사에 요청할 수 있다고 합니다.

고용주가 신고를 해야지 원천징수영수증 인터넷발급이 가능합니다.

사업주가 세무신고를 하지 않는 이상 해당하는 서류를 발급 받을 수 없습니다.

 

 

 

이직 할때 원천징수 영수증을 낼때

기타소득의 경우 근로소득 연말정산하고 별개라서

내년 5월에 직접 종합소득세 신고를 하셔야 하고요.

연봉 확인용의 경우는 제출하셔도 상관이 없습니다.

많은 분들이 원천징수영수증 인터넷발급 받아보면 현타온다고도 하시더라고요.

무조건 회사에 요청해야 하는줄 알고 계셨는데 인터넷 발급도 되는지

모르셨다는 분들도 있으시더라고요.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