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우리말 겨루기 기출문제


우리말 겨루기 지방 예심때 문제 풀어보면 실제 방송보다 어렵다고 해요.

 만약에 합격이면 녹화는 5시간에서 6시간 동안 이루어진다고 하고요.





 예심에서 절반정도가 떨어진다고 하는데요. 

예심에 15문항을 15분 동안 시험보고 면접도 본다고 해요.

그리고 시험봐서 합격하면 면접보는 거라고 하네요. 예선 통과한거 자체가 대단한듯 하더라고요.

면접에서는 의상 단정하고 이쁘게 입고 가고 장기자랑을 해도 된다고 하고요.

예심은 우리말 겨루기 게시판에 신청을 하셔서 뽑히셔야 보실 수 있으시고요.


그리고 티비 방송을 꾸준하게 보면 도움이 된다고 하니 

기출문제도 살펴보면 좋을거 같은데요.

그동안의 지식이 중요하다고들 이야기 하던데요.

달인이 될 경우 천만원의 상금이 주어진다고 합니다.



예심은 4시간 30분정도 진행되기도 하던데요.



예심 진행하고 바로 본선이 아니라 몇개월있다 연락오고 그러는가 보더라고요.

그동안 공부를 하실 수 있게 우리말 겨루기 기출문제를 알아볼께요.



우선 우리말 겨루기 기출문제 가로세로 퀴즈는 홈필 통해서 모두 다운로드 받을 수 있고요.



그리고 각 회차도 모두 무료보기가 가능하고 

이만원주고 우리말 겨루기 기출문제 책도 살 수 있어요.



그리고 한글 공부 하는데 도움이 되는 아주 좋은 어플이 있어서 몇 가지 소개해 볼까 하는데요.

틀리기 쉬운 맞춤법이 모아져 있기도 하고요.

넓직한은 널찍한이 정답이라고 하고요. 또 서슴치는 서슴지라고 합니다.






정답이라고 생각하는 것들이 아닌 경우가 많더라고요.



띄어쓰기는 조사는 앞 단어에 붙여쓰고 

 명사와 명사가 오는 경우 붙여써도 되고 띄어써도 된다고 합니다.

우리말 겨루기에서 나온 문항을 살펴보면 

나서면서까지도 랑 그시각 등이

달인문항으로 나왔는데 그분은 다 맞추셨는데 

정말 틀릴만한 부분이 많더라고요.



그리고 걸어 다니다의 경우 걷다와 다니다의 두단어가 합친거라서 띄어써야 한다고 합니다.

이렇게 법칙을 배우고 공부하면 훨씬 쉬운데요.

티비에서 자주 나오는 정말 헷갈리는 띄어쓰기 방법도 

이 어플에 문항으로 나옵니다.



정말 알쏭달쏭한 문항들이 많지요.

티비에서 나온 문항을 살펴보면 체신머리랑 채신머리 그리고 두메사람과 두멧사람이 나왔는데 

좀 더 어려운 느낌이지요.



이렇게 다양한 한글 문항이 나오는데 점수도 나오고 시간도 정해서 풀 수 있고 어플이 딱 기출처럼 나오더라고요.



그리고 유료지만 공무원 공부하시는 분들도 좋다 하시는 어플들 두가지를 소개해 볼께요.



많이 헷갈리는 표현들이 많은데요. 티비에서 나온 문항으로는 피리를 닐리리 뉠리리 부는게 맞냐

이런 문항이 나왔었고요. 또 찌개가 오골거리며 끓다가 맞냐 오글거리며 끓다가 맞냐라는 문항이 나왔었는데요.

오글이랑 뉠리리가 맞는 표현이라고 하더라고요.



별이 밝다는 박다로 읽어야 하고 굵다는 국따로 읽어야 한다고 합니다.



티비에 나온 문항으로는 물건 따위에 정이 들다를 뜻하는 것은 이란 문항이 나왔었는데요?

과연 정답은 뭘까요? 너무 생소한 말들이 많이 등장하기도 하는데요.

정답은 살갑다 라고 합니다.

그리고 장소를 고르는 일을 뜻하는 단어는?

물색이 정답입니다.



그리고 시골내기나 시골나기처럼 많이들 익히 쓰는 표현 중에 잘못된 표현들이 따로 모아져 있기도 한데요.

그런 대표적인 단어로는 지팽이가 아니고 지팡이라고 하고요.

졸립다가 아니라 졸리다라고 해야지 맞는다고 합니다.

그리고 막내동생이 아니라 막냇동생이고요.



국립국어원 홈페이지 활용하는것도 도움이 된다고 하고요.

그리고 아름다운 우리말을 찾아서 라는 책이랑

입에 익은 우리입말 이라는 도서도 좋다고 하네요.

또 하나 좋은 어플이 있더라고요.



바라와 바래도 많이 헷갈리는 단어중에 하나일텐데요.

바래는 색이 바래다의 뜻이고 

바라는 도움을 바라다의 뜻이나 

행복하길 바라가 맞는 표현이지요.

어떻게는 방식을 물어볼때 쓰고

어떡해는 문장을 마치는 위치에 자리해서 

게임 졌는데 어떡하지 이런 식으로 쓸 수 있다고 합니다.



로서는 자격이고 로써는 수단을 나타낸다고 합니다.

선생님으로서가 되고 그래서 밧줄로써 너를 묶어서 ~이런 식으로 쓰인다고 합니다.



그리고 문제적남자 프로그램 초반에 보면 맞춤법에 대해서 많이 나오는데 

정말 헷갈리고 틀리기 쉬운 문항들이 많아서 공부에 도움이 많이 될듯한대요.

전직 아나운서 전현무씨의 똑부러진 해설도 들을 수 있습니다.

널따란과 넓다란에서 넓다란은 잘못된 표기법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웃어른과 윗어른도 많이 헷갈리는데 아래위가 나누지 않는 어른의 경우 웃어른이라고 하고 

아랫입술이나 윗입술처럼 아래위가 분명한 경우에는 윗이라고 사용한다고 합니다.


우리말 겨루기 기출문제를 알아보면서 다양한 한글 표기법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우리말 나들이 또한 함께 보면 도움이 될듯 합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