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예배 방법 알기.
자가격리를 위반한 사람들에게는 강력한 대책을 마련한다고 하고
3월과 4월에는 종교집회자제를 부탁하는 목소리도 높았는데요.
지금은 많이 사회적 거리두기가 많이 완화되어서 이번주는 현장에서도 병행하기도 했다고 합니다.
드라이브인 예배를 하기도 했는데요.
화상회의 플랫폼이 수요도 많이 늘었고요.
디스코드인는 인원 무제한에 가격도 무료라고 하더라고요.
온 단정히 입고 노트북 앞에서 예배 드리는 곳이 많았었다고 합니다.
유튜브를 통해서 주일날 실시간으로 온라인 의식을 들이시는 분들이 많으셨었는데요.
저희 동네 또한 그랬고요.
기도회 모임 또한 모두 중지되기도 했고요.
실시간 채팅창도 있어서 아멘이라도 많이들 댓글을 남기시기도 하시고요.
방송 장비가 없어도 스마트폰과 컴퓨터에 연결할 수 있는 비디오 카메라만 있으면 온라인 예배를 할 수 있는데요.
방송 송출 프로그램이 준비가 안되었다면 스마트폰으로 유튜브로 송출을 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 누구나 온라인 예배를 드릴 수 있습니다.
스마트폰용 핀마이크를 이용하면 더 깨끗한 방송을 할 수 있다고 하고요.
그리고 핸드폰 실시간 방송을 할 경우에 실제 한번에 접속자가 1000명을 넘어야 해서
50명이하의 소규모 교회의 경우 카카오톡이나 카카오톡 실시간 채팅을 이용하는 것이 좋다고 하고요.
가볍게 무선으로 쓰기 좋은 마스크도 있고요. 동기화 기능이 있어서 좋고요.
스마트폰 카메라 성능도 점점 좋아지면서 광각이나 줌이 가능해졌다고도 하는데요.
그런 기능이 없는 경우 광각렌즈 키트 제품들을 따로 구입이 가능해서 줌 아웃이 가능한대요.
이런 렌즈를 통해서 줌 아웃이 가능하고 초점 조절기가 있는 제품도 있더라고요.
그리고 아이리그 스트림이라고 모바일 스트리밍 오디오 인터페이스인데
1인방송 스트리밍에 최적화된 오디오 인터페이스라고 하는데요.
pc에서 송출되는 음원을 실시간으로 송출해주는 소형 오디오 인터페이스입니다.
작게 온라인 예배볼때 이용하기 좋은 아이템이더라고요.
휴대폰으로 하지 않고 컴퓨터로 하는 온라인 예배 방법으로 obs 스튜디오를 이용해서도 할 수 있는데요.
obs의 경우 프로그램이 가볍고 무료로 이용이 가능합니다.
그리고 구성 마법사로 설치하면 간단하고요.
두가지 중요한 부분이 얼굴이 잘나오게끔 하는거와 목소리가 잘 나오게끔 하는거
두가지가 중요한 부분인데요.
그리고 obs 프로그램과 동시에 hdmi출력이 가능한 캠코더도 필요하고요.
그리고 연결을 위해선 캡처보드도 필요하고요.
캠코더를 컴퓨터랑 연결해서 방송을 내보낼려면 캡처보드가 필요합니다.
캡처보드는 15만원에서 30만원대까지 가격이 다양하고요.
캠코더랑 컴퓨터랑 연결해서 생방송이 가능하게끔 합니다.
근데 마이크만 잘 사면 캠코터가 추가 구매가 필요없는 마이크도 있다고 하는데요.
그 마이크가 와이어리스 마이크라고 하고요.
위에서 언급한 대로 설정마섭사를 자동 실행하고요.
수동은 더 다양히 복잡한 부분이 있습니다.
그 다음 목적에 맞게 선택을 하면 되는데
온라인 예배 방법으로는 방송 최적화를 선택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송수신이 원활하지 않거나 화질이 깨지거나 하면 obs최적화 설정법을 알고 있으면 좋은데요.
버퍼링 화질 그리고 렉 같은 부분이 개선이 됩니다.
출력 형식을 고급으로 해주고 인부호기에서 엔비디아 그래픽 카드 쓰시는 분들은
h.264 new를 선택하시고 아닌분들은 x264를 선택하고요.
그런 다음 어디서 방송을 할지를 결정하면 됩니다.
비트 전송률 라는 건 1초에 얼만큼의 데이터를 처리하는지를 의미하는 건데요.
방송하는데 문제가 되는 요소중에 하나가 비트 전송률라고 하는데요.
최소 5000이고 보통 6000으로 하고요.
스트림키는 실시간 스트리밍에서 확인하실 수 있으십니다.
그리고 오디오와 마이크 설정도 하고요.
그리고 밑에 플러스 항목을 통해서 지금 화면을 불러오거나 컴퓨터에 연결하는 비디오 카메라를 불러올 수 있고요.
비디오 캡처 장치에서 확인을 선택하면 내 얼굴이 보이게 됩니다.
화면이 불러와지면 화면을 가운데에 맞게 조절을 하면 됩니다.
보는 사람들이 보기 쉽게 좌우변환도 가능하고요.
장치에서 모델명을 선택하면 되고요.
그리고 방송 장비 셋팅을 시작해야 하는데요.
케이블을 캡처보드에 연결하고 컴퓨터와 캠코드와도 연결을 하고요.
그리고 오디오 셋팅은 조금 복잡하기도 한대요.
밑에 가운데 오디오에서 속성을 통해서 오디오 장치를 불러올 수 있습니다.
마이크의 모델명을 선택하면 됩니다.
usb형을 꼿을때는 모델명을 찾으면 되세요.
그리고 온라인 헌금 또한 시대에 발맞춰서 현금 잘 안들고 다니니 좋은 방법이다 라고
교인분들도 말씀 하시기도 하더라고요.
투명하고 깔끔해서 좋다는 의견도 있고요.
하루 빨리 모든 곳이 진정이 되어서 현장 예배를 다들 드릴 수 있기를 바래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