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봉 실수령액 계산기 퇴직금도 알아봐요.
공기업 연봉리스트를 보니 초봉도 다 괜찮더라고요.
초봉의 경우 케바케이긴 하지만 연구원이나 금융계열쪽이 연봉이 높던데요.
봉급의 총액 6천이라고 하면 세금 제하고 하면
연봉 실수령액 계산기를 이용해보면 4천 후반대라고 합니다.
5500정도 되려면 7천 정도 되어야 한다고 하고요
sk나 s오일의 경우 자녀 학자금이 있어어 실수령액의 경우 1억이 넘을 수 있다는 글도 있고요.
그래서 국민세금으로 90분 강연에 1550만원의 강연료를 받는 김제동님이 이슈가 되기도 했는데요.
연봉 실수령액 계산기를 통해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4천을 받는다고 해도 실제로 받는 금액은 300에 못미친다고 하는데요.
처음 입사한 분들의 경우 비과세액에 대해서 생소하실 수도 있는데요.
음식 비용이나 차량 관리비 등등의 세금을 제하지 않는 항목을 이야기 합니다.
이렇게 기입을 해보면 정말 금액이 쑤욱 내려가는데 마음이 아파지네요.
세후로 해서 250벌기 어렵다고도 하는데요.
보통 연봉 3500은 되야 그렇게 벌 수 있더라고요.
진짜 세전보면 괜찮네 하다가도 세후를 보면 한숨이 나오다는 말이 맞는거 같아요.
회사 복지비나 성과금 이런것도 알아봐야 하고요.
연봉 이 동일한 분들이라고 해도 또한 부양가족 등으로 인해서
실제 받는 금액이 차이가 나기도 합니다.
연봉 실수령액 계산기는 사람인이나 인쿠르트 등의
취업 정보 사이트에서도 확인해 볼 수 있어요.
만약에 퇴직금까지 포함이라면 13개월로 나눠야 하는데
여기서 퇴직금 포함할지 별도로 할지 여부도 결정해서 알아볼수도 있어요.
그리고 연차수당이 없다고 하면 근로기준법 위반이 된다고 합니다.
연차수당을 주고 안주고는 결정할 사항이 아니라
근로기준법에 나와 있는 상황인데요.
그리고 포괄임금제의 경우 좀 상황이 복잡해지는 느낌도 드는데요.
기본급과 연장수당으로 급여가 산정이 될 경우
연장수당은 최저임금으로 포함이 안되는 상황이라
기본금이 최저임급만큼 되지 않는다면 최저임금 위반이 된다고 하는데요.
포괄임금제의 경우 일을 더하든 말든 똑같은 임금을 지불하겠다 이런 소리인듯 한데요.
추가수당이 없다고 생각하시면 되는데요.
중견기업이나 중소기업 등도 포괄임금제로 된 곳들이 많다고 하네요.
그리고 상여가 포함이 된 연봉이라고 하면 14로 나눈다고 합니다.
퇴직금을 년봉에 포함시키는 경우가 있는데
퇴지금을 중간에 계산하는 것은 안된다고 하더라고요.
그래서 퇴직금 포함인 곳은 별로라고들 말하는 데요.
만약에 퇴직금 포함이라고 하면 나누기 13을 해야 합니다.
그리고 나의 월급은 상위 몇 %인지 하위 몇%인지도 알 수 있는
연봉 실수령액 계산기 뿐만 아니라 탐색기도 있어서 알아볼 수 있는데요.
많이들 이 탐색기를 해보고 자괴감이 든다고도 말씀 하시는데요.
많은 분들이 이런 프로그램도 있냐 하시면서 써보진 않을거 같다고 답했다고 하는데
뭔가 자존감을 바닥치게 할까봐 그런게 있는거 같습니다.
이렇게 2000만원으로 해보니 어느정도 순위에 머무나 알수가 있었습니다.
연봉 5천일때 세금만 거의 6백만원 정도가 나간다는 계산이네요.
연봉은 오르는데 실수령액은 제자리 걸음이라고도 하는데요.
사람인 홈피에서 보면 기업별 급여 정보를 확인할 수가 있는데요.
9000만원 넘는 직종은 은행쪽이 그렇고요.
중소기업의 경우 업무에 따라 천차만별이고 회사마다 다를 테지만
해마다 연봉 실수령액이 3%정도 오른다고 하고요.
모비스 사내 협력 업체의 경우 세전 5000이상이라고 하고요.
cj도 연봉 못지않게 복지 또한 좋더라고요.
여기 신입의 경우 1년에 4천 정도라고 하는데요.
그리고 성과제라서 생산직의 경우 짜다고 해서
제일짜당이라고 부른다고도 하네요.
용접은 하루 일당이 35만원이라고 해서
대박이다 그랬더니 일이 엄청 힘들긴 한가 보더라고요.
꿈의 직장으로 불리는 구글의 경우
초임이 1억 1700만원이라고 하는데요.
워라벨 또한 어마어마 하더라고요.
식사도 하루 세번 무료고
근무 시간도 탄력적이고 중간에 낮잠시간까지 있을 정도로
프리하다고 하는데요.
하지만 집값도 많이 나가고 세금도 높다고 하더라고요.
요즘 아이 있으면 한달에 쓰는 비용이 4~500은 기본이라고 하더라고요.
그래서 외벌이의 경우 700정도는 벌어야 저금하고 한다고 하던데요.
월급만으로 재산 불리는건 힘들다고 해서 재테크도 많이들 하시더라고요.
헌금이며 세테크도 하시고요.
부모님 용돈 관련 세금혜택도 증여세 절세 관련해서 이야기가 있었는데 무산되었다고 하더라고요.
있는 사람은 선진국 수준으로 많이 내고
없는 사람은 거의 안낸다고도 하더라고요.
지금까지 연봉 실수령액 계산기 관련해서 알아보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