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수당 신청 홈페이지
한국 인구는 본격적인 내리막길이라고 합니다.
노인연령 기준을 높이자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고 하고요.
요즘 학생 절벽시대라고도 하네요.
서울에서도 통합 중고등학교가 나왔다고 하네요.
한국 인구는 이대로 가다가는 2060년도에 2500만명이 될거라고 합니다.
살아보니 인생은 고통이라 이런 감정을 물려주고 싶지 않다라는
분들도 많으시던데요.
자녀 한명 당 대학졸업까지 드는 비용은 3억이라고 하네요.
4월부터 8세미만까지 월10만원 아동수당은
오늘(9일)부터 사전신청이 가능합니다.
올해부터 아동수당 지원연령이 확대되었다고 합니다.
만7세가 아동수당을 1년 더 받게되는 것입니다.
14년생 아동수당 우편물을 벌써 받으신 분도 있으시던데요.
14년생 4월생 아동이면 3달치를 받을 수 있겠네요.
14년 9월생 아동일 경우 초등학교 1학년 9월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
개정법이 4월에 시행이라
1~3월생은 한번에 4월에 지급하고 그 후로는 월마다 지급이 된다고 합니다.
예전에 받았던 계좌로 자동연장 된다고 합니다.
14년생 1월생 아동은 못받는다고 합니다.
14년생 1월생 아동은 12월에 끝나서 못 받는다고 합니다.
14년생 2월1일부터 지급한다고 하네요.
14년생 2월생은 한번 받고 끝이고요.
생일 늦은게 다행이더라고요.
만약에 아동수당 신청 홈페이지에서 안해서
아동수당 못 받은건 어쩔 수 없이 못 받는거라고 하네요.
1인당 10만원 매월 지급
아동수당 받던 분들은 따로 아동수당 신청 홈페이지에서 안해도
나오던 사람은 10만원 나오고요.
기존에 받았던 정보 그대로 넣어준다고 합니다.
아동수당 신청해서 들어오면 아이 이름으로 적금을 넣는다거나
아이 통장에 넣어 준다고 하시더라고요.
아동의 계좌 만들어서 아동수당만 계속 넣은 경우
6살이면 400만원 좀 넘는다고도 하더라고요.
이율 좋은 수협에 적금 들어준다고도 합니다.
아동수당 처음 나왔을때 계좌를 수협으로 하면
적금 이자 높이 준다고 해서 수협으로 하신분들도 많더라고요.
주식에 넣는분도 있다고 하고요.
2018년 9월부터 아동수당 제도가 시행이 되어서
생활비로 다 쓴 경우
달달이 계산해서 청약 통장에 넣어준다고도 하고요.
아동이 어린이집을 다니게 되면
아동수당은 받을 수 있고
양육수당은 어린이집 보육료로 전환이 됩니다.
양육수당은 86개월 미만의 아이들에게 지원해주는 제도입니다.
양육수당은 어린이집을 다닌만큼 일할 계산을 한다고 합니다.
일할 계산만큼 보호자 부담이 된다고 합니다.
퇴소를 하실거면 어린이집에 미리 이야기 해두는게 좋다고 합니다.
1월까지만 다닐거면
1월 안에 퇴소하고
2월 15일 이전으로 양육수당 전환하시면 됩니다.
어린이집 결제는 국민행복카드로 결제가 되었으면
유치원 다녀도 국민행복카드로 된다고 합니다.
그래야 보호자 부담이 적게 든다고 해요.
아동수당과 양육수당은 중복 지원이 되고요.
아동수당은 25일날 또는 전날에 입금이 된다고 합니다.
25일날 되면 문자로 알려준다고 하네요.
매월 25일 시간도 비슷한 시간대에 들어 온다고 합니다.
아동수당 신청은
연령 확대에 따른 사전신청 기간이
다음달 말일까지 입니다.
양육수당과 영아수당은 중복지급이 안된다고 합니다.
영아수당은 올해 태어난 아가만 해당이 됩니다.
영아수당은 점점 금액이 25년도까지 오른다고 하네요.
영아수당은 어린이집을 다니던 다니지 않던 동일하게 지급이 되고
어린이집을 다닌다면 바우처 카드로 지급이 된다고 합니다.
올해 신설된 영아수당은 지난달에 처음으로 받으신 분도 있으시더라고요.
15일 이전에 출생신고하면 그달에 바로 나온다고 합니다.
그리고 또 지역별로 따로 주는 영아수당도 있다고 합니다.
시군구청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복지로 홈페이지에서 유아학비 사전 신청 할 경우 올해 5세는
22년도부터 국공립은 10만원 사립은 28만원이 지원이 된다고 합니다.
저소득층의 경우 사립 유치원 10만원 지원해 주는게 있다고도 합니다.
원비를 낼때는 지원금을 제외한 금액을 모두 내셔야 하고요.
양육수당은 만8세 미만 95개월까지 지원이 됩니다.
아동수당은 영아수당 및 양육수당과 중복이 가능합니다.
년도에 더하기 8 그리고 태어난 달에 빼기 한달을 하면
언제까지 아동수당을 받을 수 있는지 계산해 볼 수 있습니다.
저소득층 지원
그리고 저소득층의 경우
아동치과지원이라든지 아동 안경지원 그리고 아동 심리지원 해주는
프로그램도 있다고 합니다.
아동수당 신청 및 홈페이지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