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환경기사 필기 기출문제 알아봐요.
19년도에는 계산하는건 거의 없었고
오염방지기술에서만 계산 문제가 나왔었다고 하는데요.
대기는 문제은행 식이라서 무조건 기출이라고 하는데요.
물샘에서 인강이랑 교재 싹 다 다루고 5에서 6년치 5회독 이상하면 충분하다고 합니다.
수질은 물쌤 대기는 공쌤 이렇게고요.
2020년도에는 실기 작업형이 없어져서 필답형으로 점수를 내야하기 때문에
이론 공부 또한 같이해야 한다고 합니다.
산업안전기사랑 대기환경기사 필기랑 함께 공부하시기도 하시는데요.
시간적 여유가 있으면 둘 다 취득하는것도 좋다고 하고요.
이론 공부랑 기출이랑 함께 공부하는게 좋다고 하는데요.
해설은 구민사에서 나온 과년도 기출책 보면 09~16년 기출이랑 해설 잘 나와 있다고 하고요.
주경야독 홈피 보면 대기환경기사 필기 기출문제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올해는 작업형이 폐지되고 실기 100% 필답으로 변경이 되어서
실기 합격률이 하락될 것으로 전망하더라고요.
관련학과나 관련학문 수강자들은 인강 들으면서 넉넉 잡아 2달이면 합격한다고 하고요.
시간 여유가 된다면 과년도 한달이면 필기합격은 충분하다고 하네요.
비전공자의 경우 필기는 인강을 같이 듣는게 좋은데 많이들 물쌤을 권하시더라고요.
전공자 분들은 외울게 많기는 한데 합격하신 분들은 단기간에 합격하시기도 하시더라고요.
비전공자 분이라고 해도 연소공학이나 대기방지관련 수업을 들으셨으면
무난하게 하실만 하다고 합니다.
조금 산안기와 산위기와 달리 필기가 까다로운 편이라고 합니다.
비전공자라면 더욱이 이론책도 함께 공부하셔야 한다고 합니다.
실기 주관식은 외울게 많고 객관식은 수월하다고 하고요.
다 외워야 하지만 반복 출제되는 식이 많아서 쉽게 외워진다고 하고요.
그리고 책은 대기환경기사 같은 경우에는 5과목이 법이라서 최신것을 봐야 하고요.
최근에 법이 개정되었다고 합니다.
그리고 용어 또한 법이 개정되면서 바뀐 부분들이 있고요.
그리고 법률적으로 바뀐건 크게 없는데 실기 유형이 바뀌었다고 합니다.
실기가 필답형 육십 프로에 그리고 직접 실험하는건 40프로였는데
필답형으로 바뀌었다고 해요.
작업형의 경우 전공자라면 학교 실험에서 했던 사람들은 어려움 없이
최소 어느정도 점수는 얻을 수 있다고 하고요.
수질이랑 둘 다 실험하는게 없어진다고 합니다.
그래서 난이도가 더 올라간다고 합니다.
실기는 직접 실험을 해보는게 좋지만 그게 안되면 동영상을 수강하거나
실험순서를 잘 정리해서 이미지트레이닝을 열심히 하면서 공부하신다고도 하고요.
수포자의 경우도 계산은 계산기가 다 해주니까 식만 어느정도 외우고 익히면 된다고 하네요.
기초적인 풀이를 해주는 인강은 없다고 하는데
몇군데 샘플강의 듣고 이해하기 쉬운 인강부터 선택해서 무한 반복해서 들어봐야 한다고 하는데요.
수학 그리고 화학적 기초가 없으면 조금 어렵다고도 합니다.
물쌤은 비전공자분들도 많이 보는 교재라고 하고요.
그리고 주경야독도 좋다고 합니다.
또한 구민사도 많이들 보신다고 합니다.
구민사도 구성이 좋고 부록도 있다고 하고요.
성안당 도서는 디테일 하다고 하고요.
공부방법도 개인마다 다르니 보기 편한책은 개인마다 다를 수 있으니
서점에서 직접 보시고 구매해 보세요.
필기는 기출문제 반복하고요.
언젠가는 똑같은 문항이 하나 나온적도 있다고
시험보신 분이 그러시더라고요.
똑같은 문항은 난이도가 있는 문제가 출제되긴 하는데 대부분 조금씩 바뀌어서 나온다고 하고요.
한 공식에 여러 형태로 변형되어서 나온다고 합니다.
인터넷에 보면 공식정리한 글이 있으니 참고해 보세요.
풀기전에 한번 앞에것들을 쭉 정리한 다음에 과년도 문항 계속 풀면 도움 많이 된다고 합니다.
과년도와 똑같이 나오는 경우가 있지만 대부분 숫자가 조금씩 바뀌어서 나온다고 합니다.
시험일정이고요.
난이도는 산업안전보다 어렵다라고도 하더라고요.
산업안전은 암기인데 대기환경기사 필기의 경우 이해와 암기를 같이해야 합니다.
그리고 화학분야 전공자가 아니면 생소한 문항들이 꽤 있고요.
시험 응시 자격은 큐넷에서 응시가능이라고 나온건
서류 인증이 되었단 말입니다.
그리고 경력은 본인경력 그냥 작성해서 넣는게 다가 아니라
공단에서 인정을 해야 경력이 업뎃이 되고요.
환경학과전공 및 관련일을 했으면 된다고 하는데요.
응시진단을 해보시거나 큐넷 상담원에게 문의하시는게 빠릅니다.
자격안되면 학점은행제로 따기도 한다고 합니다.
산업위생관리사랑 어떤걸 공부할지도 고민이시기도 하시던데요.
전공을 하셨으면 대기환경기사 필기 기출문제를 먼저 공부하시고
위생 쪽 공부하는것도 좋을거 같고요.
그리고 전공지식이 남아있을때 자격증 취득하는게 훨씬 낫기도 하고
또 어려운걸 마쳐놔야 더 쉬운거 취득하는게 편하다고도 합니다.
증명서 제출할때는 휴학이나 재학 그리고 재적증명서도 상관없다고 합니다.
환경직 뽑는 곳은 환경산업기술원 그리고 보전협회
수도원 매립지 공사 시설 공단 등등 엄청 많이 있더라고요.
공고 수시로 확인해 보시고요.
대부분의 사업장의 안전팀들은 산업이랑 안전 그리고 보건과 한경을 병행하는 부분들이 많다고 합니다.
환경안전관리자의 경우 회사마다 다를 수 있는데
냄새방지 현장오염 폐기물 처리등 환경이랑 유독물쪽 관리를 하기도 하고요.
안전이랑 다 맡아서 해야한다고 합니다.
건설업은 대기환경기사 보다는 위생을 선호하고
제조업 같은 경우는
환겅과 보건 업무를 해야해서 대기기사를 선호한다고도 합니다.
그리고 업무의 경우 대기한경보존법을 읽어보면 어떤 업무를 하는지 이해할 수 있다고 합니다.
기간적으로는 한달간 열심히 공부하면 합격할 수 있다고 하더라고요.
기본은 과년도로 맞춰서 공부하시면 되고 법개정과 용어변경이 많아서
새 책으로 공부하시는게 좋다고 하고요.
계산문항의 경우 이해가 어렵다면 인강 들으시면 도움된다고 하고요.
그리고 연소공학과 산업위생내용 알면 혼자 공부하는데 도움된다고도 합니다.
산업안전보다 좀 어렵다고 하네요.
이제는 대세가 환경이라고 하던데 꼭 합격하셔서 좋은 곳에 꼭 취직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