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누수탐지비용


물은 아래로 흐르기 때문에 천정에서 물이 샌다면 비용은 윗집 부담이라고 합니다.

벽지가 젖는다고 하면 배관상의 누수가 문제일수도 있다고 합니다.

천장에 곰팡이가 생긴거면 물이 안흐르면 윗집 하수관 문제이거나 욕실 방수 깨진걸수도 있다고 하는데요. 

근데 원인이 다양하다고도 합니다.

윗층에서 물이 샌 경우에는 누수비용은 100% 보상 청구 할 수 있다고 합니다.

보수공사 안해줘서 내용 증명까지 보내기도 하더라고요.

관리실에 먼저 이야기 하는게 좋고요.

공사업체를 통해서 누수탐사 업체를 부르는게 좋다고 합니다.


미세한 누수인 경우는 다 뜯어서 확인하지 않는다면 화장실을 사용하지 않고 원인을 찾아야 한다고 하고요.

바닥 뜯고 보일러 액셀 새로하는게 최후의 수단이라고도 하는데요.





누수탐지비용은 기계 사용하면 30만원 정도에 플러스 되는 정도라고 합니다.

누수 테스트는 압축 공기를 수도관이나 난방관에 넣고 청진기를 통해서 소리를 찾는 거라고 합니다.

그리고 물 세는 지점에 점검구를 셀프로 달기도 한다고 해요.



원인은 빗물이 새는것이거나 보일러 배관일수도 있고요. 수도관일수도 있고요.

안방이랑 벽이 젖어서 검사해보니 보일러선에서 물이 새어서 공사하고 나니 괜찮았다고도 하고요.

샷시가 노후되서 그 틈으로 물이 스며들수도 있다고 하고요.



가장 그리고 먼저 확인할 것은 배관상의 문제인지 방수 문제인지를 확인해야 한다고 합니다.



관리실에 문의해도 별 도움 안되고

공사 진행한 업체에 문의하고 누수탐지 업체에 의뢰해야 한다고 하는데요.

관리실은 공용 부분만 관리하고 세대 내부는 집주인 책임이라고 합니다.

방수 업체 검색해서 실적있고 오래한분 블로그 같은곳보고 문의하신다고도 하고요.

인건비가 있어서 몇분이 오시는지 미리 견적받아야 한다고 하고요.

변기 시공 잘못해서 물이 세기도 한다고 하고요.



바닥쪽에 물이 보이면 아래집으로 타고 내려가서 아래집 도배까지 해야할 상황까지 생길 수 있다고 합니다.

바닥깨지 않고 배수구 쪽이랑 변기쪽 공사해서 바닥 방수 하는데 50 들었다고도 하고요.

배수구 패킹 잘못된 경우도 꽤 있다고 하고요.

물을 사용안했는데 물이 아래층으로 샌다면 온수나 냉수배관 문제일 가능성이 높다고 하고요.

메인 수도관 잠그고 하루 이틀 정도 살펴봐서 아래층에 물이 안떨어지면 상수도 배관 문제일 수 있다고 하고요.



빗물이 새는 경우는 집안에 있는 틈을 살펴봐야 한다고 합니다.

샷시 사이로 물이 새는 경우는 옥상 난간에서 외부 벽돌 안쪽을 타고 물이 새는 경우일수도 있다고 하는데요.

옥상 난간 부분을 비밀로 덮어서 확인해 볼 수 있다고 합니다.

비닐을 깔아서 안 새는지 확인을 해보시고요.



아파트 샷시 바꾸고 새는 경우에는 샤시 업체 불러서 샤시 주변 실리콘 손봐서 고치는 경우도 있다고 하고요.

약간씩 덜바른 경우 틈이 생겨서 샐수도 있다고 합니다.

옥상 배수관이 바닥에 있는 경우 바닥을 뜯어서 구조물을 넣게 되는데

배수관 넣고 빈틈없이 잘 보강을 해야 하는데

그렇지 않은 경우가 있다고 해요.

그럴 경우 배수관과 바닥이 만나는 부분을 우레탄 실리콘으로 보수를 한다고도 하고요.

실리콘의 경우 보조적인 역할만을 한다고 하는데요.






창틀이 벌어져서 그 사이로 물이 들어온 경우는 실리콘이 먼저라고 하고요.

근본적인 처방은 위쪽에서 새는 경우 지붕쪽을 보수하거나 지붕재 등으로 덮기도 한다고 하고요.



방바닥이 물이 차서 벽위로 올라가는 경우도 있는데요.

보일러 온수배관이 오래되면 뜨거운 물을 계속 쓰면서 삭아서 터지는 경우도 있다고 하네요.

온수관 같은 경우 재질에 따라서 온도가 높아지면 팽창 된다고 합니다.

씽크대 하수관 배관 상태와 주름관 상태도 살펴봐야 한다고 하고요.



결로랑의 차이는 원건물의 구조물에서 생기는 것이 결로인데요.

공기의 층을 두지 않고 확창하거나 해도 결로가 생긴다고 하고요.

결로는 날이 더워도 추워도 생기는데

바깥쪽 결로는 겨울에 생긴다고 합니다.



그리고 공사를 시작하기전에 물이 새는 부위를 못 찾으면 결제를 어떻게 할것인지 

미리 이야기를 한 다음에 공사를 시작해야 한다고 합니다.

누수탐지비용은 부품 교체까지하면 40만원선이라고 하고요.

누수탐지비용은 보통 20만원에서 40만원까지 금액을 지불을 하셨다고 하네요.

가스식 탐지기 사용할 경우 금액은 좀 더 비싸진다고 하고요.



공사 금액은 범위에 따라 다른데요.

30만원에서 90만원까지 다양하고 작업 인원수에 따라서도 달라진다고 하고요.

배관 공사는 보통 100만원부터 시작한다고도 하고요.

돈을 드릴때는 언제까지 as가 가능한지 물어보시는것도 좋을거 같고요.

공사를 해보신 분들은 가격이 있어도 확실한 곳에서 하는것이 좋다고도 하시더라고요.

그리고 다양한 곳에 문의를 해보신다고도 하고요.



만약에 누수탐지비용이며 공사 등으로 인해소송으로 까지 진행되는 경우는

 소액심판이라서 이의제기 안하면 3개월 내외로 끝난다고도 하는데요.

아닐 경우 승소까지 1년은 기간이 걸리기도 하고 

윗집 책임이 아닌 외벽에서 스며들었거나 해서 

만약에 본인의 집이 원인이 아닌 경우에는 배상액이나 금액을 모두 지급해야 한다고 합니다.

소송까지 준비할려고 했는데 윗집 책임이 아닌 결론이 난적도 있다고 합니다.

우선 내용증명부터 보내시고요.

120번에 문의하면 무료 변호사분을 안내해 준다고도 하는데요.



그리고 가족중에 가족일상에 들으셨으면손해방지 금액이라고 해서 

아래층이랑 본인집 모두 보상을 받을 수 있다고 합니다.

공사중에 사진도 다 찍어둬야 한다고 하고요.

누수탐지비용 100%도 모두 청구 가능하다고 합니다.

그리고 실사도 나온다고 하고요. 남의 재산에 피해를 주었을때 보상받는 조항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누수탐지비용을 알아보실때 하자보수까지 잘 알아보시고요.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