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교 내신등급 계산하기.
내신은 학교의 인원수도 중요하고 학교 학생들의 수준도 중요한데요.
그리고 학생인원수가 많으면 단계별로 인원이 많으니 조금 더 유리하기도 하고요.
학생수가 많은건 상대평가여서 등급간 학생 분포가 많고 대학입시에 유리하다는 의미인데요.
그리고 올해부터 고교블라인드가 시작이 된다고도 합니다.
자사고랑 일반고의 경우 하는 활동이 달라서 알 수 있다고 하고요.
그리고 원점수와 표준편차 평균을 통해서 학교 수준은 대충 알 수 있다고 합니다.
어떤 전형으로 갈지에 따라 교과목의 중요성이 달라지는데요.
그리고 1학년을 제외하고 전체등급은 전교석차와 다르고요.
교육과정이 변하면서 학업 성적 산출 방법도 달라졌다고 합니다.
서울대는 작년에 지균을 557명을 선발했다고 해요.
아이들 성적표를 보면 원점수 단위수 평균 편차 등으로 나뉘어져 있어서
한눈에 알기가 쉽지 않으니 우선 단어에 대한 설명부터 해볼께요.
표준편차란 말이 좀 어려운데 쉽게 말해서
공부 잘하는 학생과 못하는 학생의 점수 차이로
표준편차가 작으면 학생들이 평균 점수대에 몰려있는 경우로
그 학교 아이들의 수준이 비슷한 것이고요.
또 표준편차가 적은 경우는 공부 잘하는 아이들의 경쟁이 치열할 수 있다고 합니다.
수학이나 과학 같은 과목이 표준편차가 크다고도 하고요.
이 등수로 어느 대학을 갈 수 있을까는 진학사를 통해서
성적을 입력하고 대학을 찾아볼수도 있고요.
내신과 수능 모두 9단계까지로 나뉘어져 있어요.
1단계가 제일 잘하는 단계이고요.
시험 결과 반영 과목은 학교별 전형별로 다르고
각대학 홈피에서 확인이 가능하고요.
그리고 학교별로 따로 정해진게 없다면 모든 과목이 다 포함이 되는것이고요.
그리고 과목별시수가단위가 작은 과목도 있어서
국영수사과한국과를 집중해서 공부하기도 하고요.
그리고 고교 내신등급 계산은
대학마다 산출기준이 다른곳도 있다고 합니다.
지금 고3은 진로선택과목에도 점수에 따라 단계를 나누어 점수를 주지만
고2부터는 다른데요. 정성평가란 것도 있고요
진로과목선택은 ABC로 나눠지고요.
진로선택과목의 경우 단계를 나누는것 없이 성취도 ABC로 성적이 나온다고 하고요.
그 외 선택과목의 경우 성취도가 A부터 E까지 나온다고 하고요.
전체 인원수에 따라 일정하게 단계가 나눠는데요.
이 또한 대학별로 차이는 있을 수 있다고 합니다.
이런식으로 대입해서 고교 내신등급 계산을 하면 10%가 나오는데요.
표에서 확인해보면 2등급을 확인해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내가 속한 등급의 등수까지 확인해서
등급 올리기에 더욱 노력할수도 있고요.
전교생을 100명이라고 했을때 단계별로 나뉘는데요.
1에서 9로 떨어질수록 감점이 되고요.
5단계를 기준으로해서 비율이 양쪽으로 비슷하게 나눠집니다.
5단계를 기준으로 상위 하위로 나뉘고요.
동점자 계산 방법이고요.
한 학년 100명일 경우 점수 100점이 10명이면
5.5등으로 해서 모두 1단계는 없이 모두 2등급이 되어 버립니다.
그래서 시험이 너무 쉬우면 안된다고 하더라고요.
이렇게 절대점수를 기본으로 하는 평가가 있기도 하고요.
원점수라고 하면 내가 받은 점수를 말하는데
딱 내 점수만 보고는 잘했다 못했다 평가를 하는게 아니라
평균에 따라 잘봤다 못봤다를 평가할 수 있는데요.
평균이 50이고 내가 70점을 맞았다면 잘본것이고
평균이 70점인데 내가 40점 맞았다고 하면 못본것으로
내 점수만으로 평가를 하는게 아닌걸 의미합니다.
백분위의 경우는 백분위 90이다라고 할시
상위 10%로를 나타내는 것이고요.
고교 내신등급 계산기를 보면
과목은 자유자재로 늘릴 수 있고요.
이수자는 시험을 본 전체인원수를 나타냅니다.
어려운 없이 자동으로 고교 내신등급 계산기를 이용해 볼 수 있어요.
여러 과목을 한꺼번에 한번에 계산할 수 있어요.
그리고 어디가를 통해서도 수시대학별점수산출법을 확인할 수 있고요.
그리고 진학사나 스쿨로직을 통해서도 고교 내신예상 단계를 확인할 수 있고요.
그리고 내신 계산기 어플도 다양하게 있어요.
그리고 고교학생들 점수나 등수를 확인하는 방법은 나이스 학생서비스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는데요.
과목별 그래프 등도 확인할 수 있고요.
학교를 방문하지 않고도 자녀의 학교생활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고 합니다.
성적표나 생활기록부도 볼 수 있고요.
요즘 중고교 학생들 성적표는 아이들편에 보내고 보냈다고 문자를 보내거나
또는 리로스쿨을 통해서 올려주신다고도 합니다.
나이스가 좀 더 빨리 나온다고도 하고요.
중학교는 석차는 안나온다고 하고 고교의 경우 과목별로 석차가 나온다고 하고요.
점수 확인하고 싸인하는 절차도 있다고 하고요.
그리고 중간고사보다는 기말 수행 합쳐서 나오는게 더 정확하고
중간고사 고교 내신등급을 확인하고 기말을 어떻게 준비해야할지를 고민해야 한다고 합니다.
한 학기 중간과 기말 그리고 수행을 합산해서 학기별로 산출되는데요.
학교마다 정해진 배점 비율이 안내되어 있으니 학교 홈피를 참고해 보시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