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부 양식
서울 학부모 고교생 자녀 사교육비는 지난 1년간 월평균 113만원이었다고 합니다.
이상적인 남편상은 키 178에 연소득 6224만원 자산은 2억 9117만원이 있는
사람이 이상적이라고 답했다고 합니다.
이상적인 아내상은 키 163에 4145만원의 연봉을 버는경우가
이상적이라고 답했다고 합니다.
작년 평균 연봉은 3828만원이었고
지역별로 연봉이 가장 낮은 지역은 제주지역이었다고 합니다.
월소득 180만원 이하면 기초연금을 신청할 수 있고요.
22년도에는 커피빼고 다 오른다고 하는데요.
라면도 5.5% 오른다고 하고
가스요금은 월평균 4600원이 오르고
전기세도 인상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전기요금은 4인가구 월평균 1950원 오른다고 합니다.
새해 달라지는 혜택을 살펴보면 올해 1분기에 청년희망적금이 출시가 되고요.
환경 보호에 동참하면 현금처럼 쓸 수 있는 포인트를 받을 수 있고요.
육아휴직 급여도 월 300만원까지 받을 수 있다고 합니다.
신용카드 공제와 관련해서는 교육기관에 계좌이체 하지말고
카드로 결제하면 연말에 공제를 더 받는다고 하고 가능하면
지역화폐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대학생의 월평균 생활비는 59만 2000원이고
직장인 한달 용돈은 평균 66만 3천원이라고 합니다.
이 중 식비가 28프로를 차지한다고 합니다.
가계부를 보면 1년치 소비패턴이 다 보이는데요.
가계부 양식을 통해서 가계부를 쓸때 생명에 지장이 없는
지출은 줄이라고 전문가가 충고하더라고요.
그 전문가분은 남편분 월급이 250만원인데
달달이 125만원을 저금했다고 합니다.
네이버 가계부 양식은 폰으로 인쇄도 가능하고
폰을 바꿔도 그대로 가져올 수 있고
몇 년치가 계속 저장이 되어서 편합니다.
그리고 네이버 가계부 양식은 플래시 기반이라서
아이폰 사파리에서는 안되었었는데
어도비 플래시 종료후에는
아이폰 사파리에서도 잘 됩니다.
소득의 흐름을 파악
가계부를 쓰는 이유는 소득의 흐름을 파악하고
소득공제를 받게 잘 사용하는지도 파악하기 위해서라고 하는데요.
소득공제를 준비하기 위한 가계부를 작성하시더라고요.
결제 방법을 분석해서 똑똑하게 소비하는게 목표이기도 한데요.
자신의 연봉의 4분의 1을 신용카드로 쓰면 알맞다고 하고요.
가장 먼저 공제되고 공제율이 적어서 15%라고 하고요.
어차피 현금 영수증 해도 4분의 1밖에 못 받아서
신용카드의 15%로 충족하는게 이득이라고 하고요.
체크카드나 현금영수증은 30프로 공제됩니다.
그리고 아파트 월세 낼때는 아파트 아이 앱이라고 있는데요.
카드납부로 자동이체 해놓으면
연 5500만원 미만의 소득자는
연말정산때 12% 환급 받을 수 있다고 합니다.
아파트 아이앱으로 방문차량 신청도 할 수 있고
생활관리민원도 넣을 수 있고요.
작년 일년간 가계부 쓰면서 돈을 아꼈더니
연말정산 엄청 내게 생겼다고 도로 아미타불이 되었다는 글도 있는데요.
가계부를 쓰면서 돈을 아껴야지 보다는 돈을 잘 써야지라고 생각하고 써야 한다고도 해요.
부모님께 체크카드 드리고 쓰시라고 한 다음에 월말에 쓴 만큼 돈 받으시고 하시면서
연말에 오히려 연말정산으로 돌려받는다고도 하고요.
내가 수입이 적고 부모님이 세금을 많이 내시면
엄마카드로 내가 생활비를 쓰고
다달이 엄마한테 생활비 쓴만큼 이체한다고도 하고요.
그리고 irp 가입하고 입금해 놓으면 연말정산 받을 수 있다고도 하고요.
그리고 카테고리의 이름이 정확하게 나눠어져 있는데
자신의 상황에 맞게 바꾸어서 사용하는 것도 좋겠지요.
만약에 여기에 없는 자신만의 취미 생활이 있다면
그 카테고리를 하나 더 생성해도 되겠지요.
그렇게 하면 취미 생활에 얼마를 쓰는지 한번에 알 수 있겠지요.
엑셀에 저장하기
가계부 양식을 1개월과 3개월 6개월 등으로 구분해서
엑셀에 저장할 수도 있습니다.
신용카드를 잘 활용하면 생활비 절약에 많은 도움이 된다고 하는데요.
유플러스라서 즐거운 우리카드의 경우
통신비 15000원 할인에
스벅이나 투썸 갈때도 할인을 받고요.
체크카드 중에는 국민이 교통할인이 좋다고 하고요.
네이버 가계부 양식의 경우 다른 사람들의 결산을 한걸 보고
배울수도 있어요.
그리고 부모님들 생활비 얼마를 드리는지도 알 수 있어서 좋더라고요.
연봉이 3000만원인 경우 약10프로인 300만원 정
도 용돈을 드리는게 적당하다고도 하네요.
가계부 양식 중 편한 가계부가 좋다고들 많이들 이야기 하시는데요.
일년간 어떤 물건을 얼마에 샀는지 알 수 있는 검색 기능도 좋더라고요.
편한 가계부는 유료구매해도 후회가 없다고들 평하더라고요.
프리미엄 유료 버전의 경우 자산갯수 제한이 해제된다고도 합니다.
편한 가계부는 결재 문자온거
복사해서 가계부 위젯에
붙여넣기 하면 자동으로 들어갑니다.
네이버페이 지출의 경우 선불식 카드나 기타 등의 그룹에
"상품권"이라는 자산을 생성한 후에
입력화면에서 이체를 선택하면 현금에서 상품권 자산으로 금액을 이체하는 방식으로
설정을 한다고 합니다.
저축하는건 설정>자산설정>이체지출 설정에서 "저축"에 해당하는 자산을 체크하면 됩니다.
비트코인이랑 주식 등은 주식계좌와 별개로
매수매도 시 이체로 관리한다고 합니다.
국민지원금은 기타 수입으로 잡아서 관리한다고 합니다.
가계부 양식 말고 뱅크샐러드나 후잉도 괜찮다고 하고요.
또 토스에다 연동해서 사용한다고도 하고요.
자신의 돈 흐름에 맞게 kb 국민은행 가계부 다운받아 이용하신다고도 하고요.
짠테크의 첫걸음으로 나의 재무재표 만들기도 하시면서
미래설계를 하시던데요.
국민영수증이라는 프로그램을 보면
영수증에 답이있다고 하던데
가계부 쓰시면서 영수증도 진단해 보세요.